기금넷 공식사이트 - 재경 문답 - 인간 염색체의 일반적인 사례

인간 염색체의 일반적인 사례

(다운 증후군)

우리나라에서는 21번 삼염색체증을 흔히 선천성 우둔증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가장 먼저 보고된 염색체 이상 증후군입니다. 1866년 영국의 의사 Langdon Down이 1959년에 이 사례에 대해 처음으로 임상적 설명을 했고, 프랑스의 세포유전학자 Lejeune 등이 이 질병의 원인이 여분의 G 염색체라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 이후 대부분의 학자들은 대다수의 환자들이 이 질환을 앓고 있다고 믿었습니다. 질병은 염색체 번호 21번이었습니다. 1965년에 Yunis 등은 방사선 사진을 사용하여 이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가 실제로 22번 염색체를 더 많이 가지고 있음을 증명했습니다. 선천성 21번 삼염색체의 과거 기록을 고려하기 위해 1971년 파리 회의에서는 염색체 21번과 22번의 수를 바꿨습니다.

신생아 중 21번 삼염색체증 발병률은 1/600~1/800이다. 주요 임상 증상: 환자는 편평한 콧대, 넓은 눈 거리, 작은 눈 틈, 눈 바깥쪽 모서리의 상향 경사, 눈꺼풀 주름, 홍채가 덜 발달하고 종종 사시가 있습니다. 귀는 작고 종종 낮게 위치하며 귓바퀴는 변형됩니다. 턱이 작고, 입이 반쯤 벌어져 있는 경우가 많으며, 혀가 크고 튀어나와 있으며, 타액 분비가 일어납니다. 팔다리 관절이 과도하게 구부러지고 근긴장도가 낮아 부드러운 바보라고도 불린다. 손가락은 짧고, 새끼손가락은 안으로 휘어져 있고, 가운데 지골은 덜 발달되어 있습니다. 환자의 약 50%는 선천성 심장질환을 갖고 있으며, 그 중 약 절반은 심실 중격 결손을 갖고 있습니다. 환자는 종종 손의 침투(1/2~1/3) 및 ATD 각도 증가와 같은 피부상형 변화를 경험합니다. 모든 환자는 다양한 정도의 성장 지연을 보였습니다. 남성 환자는 잠복고환증이 있고 아직 아이를 갖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여성 환자는 때때로 임신 가능성이 있으며 자녀의 1/2이 영향을 받습니다. 환자는 IgE 수치가 낮고 호흡기 감염에 취약합니다. 환자의 동시 급성 백혈병 발병률은 대조군(10~20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습니다.

지적 지체는 21번 삼염색체 증후군의 가장 뚜렷하고 심각한 징후입니다. IQ는 보통 25~50 사이입니다. 더 나은 지능을 가진 환자는 훈련을 통해 더 많은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배우거나 간단한 수동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가난한 사람들은 말하고 자신을 돌보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병에 걸린 아이들은 활발하고 사랑스러운 성격을 갖고 있으며, 흉내를 잘 내고, 음악을 좋아하지만, 행동이 정형화되고 추상적인 사고 능력이 가장 손상됩니다.

21번 삼염색체증의 진단은 주로 염색체 검사에 의존합니다. 환자의 핵형 구성에 따라 다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삼염색체성 21. 선천성 삼염색체 환자의 약 92.5%가 이 유형에 속합니다. 환자의 핵형은 47, XX(XY), 21(그림 6-18)으로 정상인보다 21번 염색체가 하나 더 많다는 뜻이다. 이 질병의 원인은 주로 배우자 형성 중에 발생하는 21번 염색체의 비분리 때문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21번 삼염색체증 환자의 경우 선천성 악성 종양의 80%는 감수분열 중 어머니의 생식세포에 의해 발생하고(이 중 80%는 첫 번째 감수분열 단계에 있음), 20%는 감수분열 중 아버지의 생식세포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중 60%는 첫 번째 감수분열 단계에 있습니다. 두 번째 감수분열 중에는 40개의 비분리가 발생합니다.

21번 삼염색체 증후군의 발병률은 산모의 연령에 따라 증가합니다. Carter와 Evans의 통계에 따르면, 35세 이상의 여성은 삼염색체 21을 가진 아이를 출산할 확률이 상당히 높으며, 45세 이상의 여성은 삼염색체 21을 가진 아이를 출산할 확률이 훨씬 더 높습니다(표 6 -1). 이는 나이든 임산부의 난세포 염색체가 비분리 경향이 있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아버지의 나이도 이 질병의 발병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일부 데이터가 있습니다. 아버지가 39세 이상일 때 이 질병에 걸린 자녀를 낳을 위험이 높아집니다. 그러나 이와 관련한 의견은 만장일치로 일치하지 않습니다.

(2) 키메라 유형은 덜 일반적이며 선천성 치매 환자의 약 2.5%를 차지합니다. 이 유형은 배아 발생 초기 단계에서 수정란이 분열되는 동안 염색체 21의 비분리가 발생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환자의 핵형은 46,XX(XY)/47,XX(XY),21입니다. 염색체 비분리가 일찍 발생하면 비정상적인 세포주의 비율이 커지고 임상 증상이 더 심해지며 그렇지 않으면 임상 증상이 더 약해집니다. 따라서 이 유형의 환자의 대부분의 임상 증상은 삼염색체성 21형 환자만큼 심각하지도 않고 전형적이지도 않습니다.

(3) 전위 유형: 이 유형의 환자는 전체 선천성 치매 환자의 약 5%를 차지합니다.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여분의 21번 염색체가 로버트소니언 전좌(Robertsonian translocation)를 통해 D군 또는 G군 염색체로 이동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이들 환자의 체세포 내 총 염색체 수는 여전히 46개이나 실제로는 하나의 염색체에 21번 염색체가 추가로 붙어 있어 전형적인 21번 삼염색체성과 동일한 임상 증상을 보인다. 가장 일반적인 전좌 유형은 D/G 전좌입니다. 예를 들어, 14/21 전좌의 경우 환자의 핵형은 46, XX(XY), -14, t(14q; 21q)입니다. 즉, 핵형에는 누락된 염색체 14가 하나 있고, 장완 14와 장완 21에 의해 형성된 추가 전좌 염색체가 하나 있습니다. 이 전위의 약 3/4은 새로운 전위이고, 1/4은 한쪽 부모로부터 유전됩니다. 후자의 경우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전이 보인자가 될 가능성이 훨씬 더 높습니다. 전위 운반체의 핵형은 45, XY(XX), -14, -21, t(14q; 21q)입니다. 염색체의 총 개수는 1개가 적지만, 전체 유전물질로 볼 때 정상인과 큰 차이가 없으며, 기본적으로 여전히 균형 잡힌 상태이므로 균형전위보인자라고도 합니다. 이러한 유형의 보인자는 외모에 이상이 없을 수도 있지만, 정상인과 결혼한 후 태어난 자녀의 1/4은 정상이고, 1/4은 전좌 선천성 악성 환자이고, 1/4은 전좌 보인자가 부족한 사람들입니다. 21번 얼룩, 1/4이 유산됨

3염색체성 21이 있는 태아의 3/4은 임신 중에 자연 유산되었으며 대부분 임신 첫 3개월 내에 발생했으며 약 1/4만 유산되었습니다. 4태아는 태어날 때까지 생존할 수 있습니다. 출생 후 환자의 평균 수명은 16.2세로 50세 이전에 사망하는 경우가 50명, 40세를 초과하는 경우가 8명, 50세를 초과하는 경우가 2.6명이다. (야옹 고양이 증후군)

Lejeune 등은 1963년에 3건의 사례를 처음 보고했습니다. 염색체 이상은 5번 염색체의 단완이 부분적으로 결손된 것입니다. 발생률은 신생아 50,000명 중 1명으로, 상염색체 구조 이상이 있는 소아 중에서 1위를 차지하며, 남아보다 여아에서 더 흔합니다.

이 증후군의 가장 중요한 임상적 특징은 아이들이 고양이처럼 울부짖는다는 점이라 고양이야옹증후군이라고도 불린다. 환자는 정신적으로 지체되어 성장과 발달이 지연되었습니다. 작은 머리, 보름달 모양의 얼굴, 넓은 간격의 눈,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눈 바깥쪽 모서리. 낮게 자리잡은 귀, 소악증, 구개열. 약 50예는 선천성 심장질환을 갖고 있으며 수질관절의 백화현상을 말한다. 핵형은 46, XX(XY), del(5)(p15)입니다. 이는 환자의 5번 염색체의 단완이 부분적으로 결실되었음을 나타내며, 결실의 중단점은 p15, 즉 단완 영역 1의 5번째 구역을 넘어서는 부분이 결실되었음을 나타낸다. (1) 선천성 고환 형성저하 증후군(클라인펠터 증후군)

이 증후군은 1942년 미국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의 클라인펠터 등이 처음 기술하여 클라인펠터 증후군이라 부른다. 1956년 Bradbury 등은 이러한 환자에서 X 염색질(Barr body)이 양성임을 발견했습니다. 1959년 Jabobs와 Strong은 환자의 핵형이 47,XXY임을 확인했습니다(그림 6-20). 즉, 정상 남성보다 X 염색체가 하나 더 많은 것을 47XXY 증후군이라고도 합니다.

이 질병의 남자 신생아 발생률은 0.13명이다. 즉, 850명 중 1명의 환자가 있으며, 이는 남성 불임 환자의 20분의 1을 차지합니다. 환자의 주요 임상적 특징은 환자가 남성으로 보이며 소아기에는 증상이 없으며 사춘기가 시작된 후 점차 증상이 심해진다는 것입니다. 환자는 날씬하고 신체적으로 허약합니다. 그들은 남성 외부 생식기, 짧은 음경, 작거나 암호화된 고환을 가지고 있습니다. 고환 조직 절편에서는 정관이 유리처럼 변하고 정자를 생산할 수 없어 불임을 초래합니다. 환자의 유방 중 약 25%가 사춘기에 여성 유방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겨드랑이 털과 음모가 드물거나 존재하지 않으며, 턱수염이 드물고, 아담한 사과가 뚜렷하지 않으며, 피하 지방이 발달하고, 피부가 여성과 마찬가지로 섬세하며, 기질과 신체 자세가 여성스러운 경향이 있습니다. 일부 환자는 정신 지체를 가지고 있지만 대부분은 정상적인 지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부 환자는 정신병적이거나 정신분열증에 걸리기 쉽습니다. 환자의 어머니는 나이가 많은 경우가 많습니다.

80~90세 환자의 핵형은 47, XXY이고, 약 10~15세 환자의 핵형은 46, XY/47, XXY 등입니다. 모자이크 환자의 경우 46,XY 정상 세포의 비율이 높을 경우 임상 증상이 경미하고 임신 가능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48, XXXY, 49, XXXXY 등도 있습니다. 여분의 X 염색체의 영향으로 인해 X 염색체가 많을수록 증상이 더 심해집니다.

47, XXY, 약 60%의 원인은 모체의 생식세포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감수분열 과정에서 X염색체의 비분리로 인한 것입니다. 40은 아버지의 XY 염색체가 분리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질병이 진단된 후 청소년기에 안드로겐 대체요법을 시행하면 2차 성징 발달을 촉진하고 환자의 심리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효과가 좋지 않을 경우 장기간 사용하지 마십시오. 수술로 제거할 수 있는 여성형 유방.

(2) 선천성 난소 무형성 증후군(터너 증후군)

1938년에 터너는 키가 작고 미성숙한 성 발달, 물갈퀴가 있는 목과 팔꿈치 외반을 가진 여성 환자 7명을 보고했습니다. 1954년 Polani 등은 터너 증후군의 많은 사례에서 음성 X 염색질과 난소 무형성이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1959년이 되어서야 Ford는 환자의 핵형이 45,X라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이는 발견된 최초의 성염색체 이상입니다. 따라서 터너 증후군은 45,X 또는 45,XO 증후군이라고도 합니다.

터너 증후군은 1/250~1/5000명의 신생아 소녀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자연 유산된 배아 중 발생률은 7.5명에 이릅니다. 데이터에 따르면 45,98개의 X 배아가 자연적으로 유산될 것이며 약 2개만이 약간의 발달 이상을 갖고 생존할 것입니다.

환자는 여성으로 보이며, 작은 키(120~140cm), 낮은 뒷머리선, 약 50세, 물갈퀴가 있는 목, 둔한 얼굴, 팔꿈치 외반, 방패 모양의 가슴, 넓은 가슴 간격을 갖고 있습니다. , 유방은 사춘기 때까지 제자리에 유지됩니다. 유두 형성 저하, 탯줄 모양 생식선, 청소년 외부 생식기, 원발성 무월경, 불임. 일부 환자는 지적 발달 장애가 있습니다. 환자의 핵형은 45,X였으며, X 염색질과 Y 염색질은 모두 음성이었습니다(그림 6-21). 약 15개는 핵형이 45,X/46,XX인 키메라입니다. 비정상 핵형의 비율이 적으면 임상 징후는 단신, 원발성 무월경, 탯줄 모양 생식선 등 비정형입니다. 일부 환자에서는 월경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46, XX 세포가 우세하면 표현형은 정상 개체의 표현형과 유사하고 번식력이 있지만 번식력은 감소합니다.

내재적 원인은 부모 중 한쪽이 생식세포 형성 과정에서 성염색체의 비분리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염색체 손실의 약 75%는 부계에서 발생하고 약 10%는 초기 접합 후 절단 중에 발생하여 다양한 모자이크가 발생합니다. 심한 기형으로 인해 신생아기에 사망하는 소수의 환자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생존할 수 있다. 청소년기의 성호르몬 치료는 2차 성징과 생식기의 발달을 촉진하고 월경을 촉진하며 환자의 정신상태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이 질환으로 인한 저신장을 치료하기 위해 저용량 에스트로겐, 안드로겐, 성장 호르몬을 사용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4) 삼염색체성. 이는 여성에게 흔히 나타나는 염색체 이상입니다. 발생률은 신생아 소녀의 경우 약 1/1000이며 여성 정신 환자의 경우 약 4/1000을 차지합니다. 삼염색체증이 있는 여성 환자의 약 30%는 월경 감소, 일차 또는 속발성 무월경 또는 조기 폐경, 유방 이형성증, 비정상적인 난소 기능을 앓고 있으며, 환자의 약 2/3는 지능이 약간 낮고 정신 질환을 앓고 있는 경향이 있습니다. 47, XXX 외에도 일부 환자는 모자이크 핵형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경미한 증상을 나타냅니다. 이론적으로 47,XXX 여성의 자손 중 절반은 47,XXX 또는 47,XXY 핵형을 가져야 합니다. 그러나 실제로 10명이 넘는 47,XXX 여성에게서 태어난 아이는 30명 이상이 정상 핵형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현상에 대한 설명은 여성의 첫 번째 감수분열 동안 XX를 가진 핵이 거의 항상 극체로 들어가 제거된다는 것입니다. X 염색체가 4개 또는 심지어 5개 있는 환자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X 염색체가 많을수록 지적 장애와 발달 기형이 더 심각해집니다. 일부 데이터에 따르면 이 질병에 걸린 환자의 어머니는 대조군보다 나이가 많습니다. 추가 X 염색체는 거의 항상 모계 감수분열 비분리에서 나오며, 주로 첫 번째 감수분열에서 발생합니다.

(5) XYY 증후군

1961년 Sandberg 등이 처음 보고했으며, 슈퍼남성이라고도 합니다. 1965년 Jacob 등은 폭력적인 행동을 하는 경향이 있는 남성 수감자 197명을 대상으로 염색체 검사를 실시한 결과 그러한 환자가 7명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그들은 두 개의 Y 염색체가 공격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제안하여 사람들의 관심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에.

발생률은 남성의 1/750~/1500 정도이다. 발생률은 교도소와 정신병원에 있는 남성의 경우 약 3%로 더 높습니다. 이 질환 환자의 주요 임상 증상은 대부분 정상적인 표현형을 가진 남성이며, 키가 180cm가 넘는 경우가 많으며, 키가 클수록 발병 ​​빈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대부분은 가임력이 있으나 때때로 요도하열, 잠복고환증, 고환의 발육부진, 정자생성과정의 장애, 생식력 저하 등을 볼 수 있다. 이때 뇌파검사상 이상소견이 나타났으며, 범죄연령은 평균 13.1세로 비교적 젊은 편이었다.

47,XYY 핵형 외에도 48,XYYY 유형의 환자도 있지만 덜 일반적입니다. 이런 유형의 환자는 성격이 더 짜증나고 지적 발달이 좋지 않으며 손가락 기형이 있습니다.

47. XYY 핵형이 나타나는 이유는 주로 아버지의 정자가 형성되는 동안 두 번째 감수분열 동안 Y 염색체가 분리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문헌에는 47,XYY 남성이 각각 47,XYY 아들을 낳는 등 두 가지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3. 취약 X 증후군

1968년 Lubs는 가족성 X 관련 지적 발달 장애가 있는 가족에서 취약 X 증후군의 첫 사례를 발견했습니다. 그러나 1976년 Girand와 1977년 Harvey가 되어서야 취약한 X 염색체와 정신 지체 사이의 관계가 확인되었습니다. 취약한 X 염색체(취약한 이 필라멘트 같은 부위는 파손되기 쉽기 때문에 취약한 X 증후군이라고 불리며 X 연관 정신 지체 증후군 중 다운 증후군에 이어 두 번째로 발병률이 높습니다.

이 질병은 주로 남성에게 나타나며 발병률은 1/1250입니다. 수컷은 반접합성이기 때문에 X 염색체에 취약한 부위가 존재하는 한 이 질병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남성의 모든 정신 지체 사례 중 약 10~20명이 이 증후군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과거에는 여성 보인자의 표현형이 정상이라고 생각되었습니다. 그러나 현재 여성 이형접합자의 약 1/3이 가벼운 정신지체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여성 보균자는 전체 여성 인구의 약 0.5‰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남성 환자의 가장 일반적인 임상 증상은 IQ 0~50의 중등도~중증 정신 지체입니다. 큰 고환, 언어 장애, 특별한 얼굴, 튀어나온 큰 귀, 일반인보다 큰 머리 둘레, 튀어나온 턱, 중앙 안면 이형성증 등이 있습니다.

Fragile의 유전적 기반이 확인되었습니다. 정상인의 경우 이 부위에 30~40개의 GGG 반복이 있는 반면, 취약 X 증후군 환자는 수백 또는 수천 개의 GGG 반복이 있습니다. 자웅동체증은 일부 환자의 생식선, 내부 및 외부 생식 기관, 보조 성적 특성에서 다양한 정도의 자웅동체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1) 진정한 자웅동체

환자는 남녀 모두 생식선을 갖고 있습니다. 약 40세 환자의 경우 한쪽에는 난소가 있고 다른 한쪽에는 고환이 있습니다. 또는 한쪽에는 고환이 있고 다른 쪽은 난소 고환입니다. 약 20명의 환자가 양쪽에 난소 고환을 가지고 있습니다.

환자의 외부생식기 및 2차 성징은 성별에 따라 다르며, 외모는 남성일 수도 있고 여성일 수도 있습니다. 진정한 자웅동체의 핵형은 46,XX, 46,XY 또는 46,XX/46,XY일 수 있습니다.

(2) 가성반음양증

환자의 몸에는 한 종류의 생식선만 있으나 외부생식기는 남녀의 특징을 모두 갖고 있다. 생식선이 고환이면 남성 가성 반음양증이고, 생식선이 난소이면 여성 가성 반음양증입니다. 원인은 성적 발달 중 성호르몬 수치가 비정상이거나 배아 발달 중 모체 호르몬의 영향(예: 태아를 보호하기 위해 프로게스테론을 과도하게 사용)입니다. 남성 가성 반음양증은 남성 여성화라고 하며 핵형은 46, XY이고 음성 X 염색질과 양성 Y 염색질을 갖습니다. 이는 안드로겐 불감성 증후군(고환 여성화 증후군)과 불완전 남성 가성 반음양증의 두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전자의 외부 생식기 및 2차 성징은 분명히 여성화되어 있지만 후자의 상태는 더 경미하고 남성으로 나타나며, 짧은 음경, 작은 고환 또는 잠복고환증, 여성과 같은 유방 발달이 있습니다. 여성 pseudohermaphrodite 핵형은 46,XX입니다. X 염색질은 양성이고 Y 염색질은 음성입니다. 선천성 부신 과형성(AR)이 흔합니다. 그 중 21-수산화효소 결핍(제1형)이 가장 흔하고, 11-수산화효소 결핍(제2형)이 그 뒤를 따릅니다. 일부 환자에서는 수분 및 염분 대사 장애도 동반됩니다.

약물이나 수술적 치료를 통해 자웅동체염 환자의 임상 증상을 부분적으로 개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