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금넷 공식사이트 - 재경 문답 - 미즈나

미즈나

새벽에 야채를 사러 슈이난 시장에 갔는데 물시금치를 파는 걸 보고 "물시금치 한 파운드 주세요"라고 해서 야채를 파는 아저씨가 재빨리 정정해 주셨다. : "이건 물시금치가 아니라 물시금치야. 야채야."

물시금치, 물시금치, 물시금치는 같은 야채 아닌가요?

삼촌은 물시금치와 물시금치를 둘 다 물시금치라고 부를 수는 있지만 같은 야채가 아니라고 하더군요. 둘은 맛도 다르고, 겉모습도 다릅니다.

?채소는 줄기가 녹색이고 마른 땅에서 자라며 식감이 아삭하고, 물채소는 줄기가 흰색이고 연한 녹색이며 물에서 자라며 식감이 부드럽습니다.

삼촌은 물시금치를 볶으면 색깔이 녹색으로 남는데, 미즈나를 볶으면 색깔이 쉽게 검게 변한다고 하더군요. 하지만 실수하지 마세요.

물시금치는 마른 물에서 자라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마른 땅에서 자라는 품종과 논에서 자라는 품종이 있습니다. 나는 어렸을 때 물냉이 밭 가장자리가 물에 잠겨 있는 것을 자주 보았습니다.

하지만 용차이(Yongcai)와 수이차이(Shuicai)라는 이름에 구분이 있었던 적은 없으며, 둘 다 두 이름으로 합쳐져 불린다. 오늘은 삼촌의 말씀을 듣고 나서 따로 부르는 게 더 공평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시금치와 미즈나 둘 다 곧게 자라며 속이 비어 있고, 줄기가 길고 연하며 잎이 길고 가늘고 빽빽하게 뭉쳐져 있어 둘 다 물시금치라 부른다.

물시금치의 줄기와 잎은 꼬아서 다발로 뭉치는 경우가 많고, 때로는 보라색이나 흰색의 나팔 모양의 꽃이 핀다.

처음 봤을 때 나팔꽃과 꼭 닮았다고 생각했는데, 사람들이 나팔꽃으로 착각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다만 나팔꽃에도 조연이라는 이름이 있는데, 이른 아침에 꽃이 피는 반면, 시금치는 항상 새벽 4시에 무정하고 활기차게 꽃을 피우며, 매우 자유롭고 제멋대로입니다.

물시금치와 물시금치의 차이는 있지만 물시금치와 물시금치의 조리방법은 동일하며, 고춧가루와 두부를 넣고 볶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물시금치를 삶아준 후, 볶은 건양파와 함께 익은 라드를 냉장고에서 꺼내 한 숟가락 떠 간장 몇 방울을 더한 후 잎 위에 붓고 굳어지는 라드를 천천히 지켜보세요. 천천히 녹아서 물속으로 스며드는 시금치 맛도 좋은 것 같아요.

아니면 그냥 끓는 물에 데친 뒤 두부소스와 실고추를 얹어 그냥 먹어도 벌써부터 너무 맛있습니다. Kaiping의 특산품인 Shuikou 발효 두부는 정말 향긋하고 부드러우며 짠맛이 나고 약간 매콤하여 위를 상쾌하게 하고 맛을 향상시킵니다.

까이람은 태국에는 '날아다니는 캉콩'이 있다고 말했다. 사실 작은 마늘을 향이 날 때까지 볶은 뒤 팬에 물시금치를 넣고 몇 번 볶은 뒤 새우장을 넣고 볶아서 만드는데, 전체 요리의 핵심은 서빙에 있다. "비행" 방식으로 말이죠.

요리사는 공 모양으로 엉켜있는 익은 물시금치를 반대편으로 던지고, 물시금치는 철사 위로 날아가고, 반대편 웨이터는 그것을 낚싯대로 단단히 붙잡는다. 그릇. 물시금치는 하늘에서 떨어지는 것 같다고 하여 '날아다니는 물시금치'라고 불립니다.

새우장을 곁들인 물시금치 볶는 냄새는 사실 '비행'을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 냄새는 사람들이 그것을 먹기에 충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