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금넷 공식사이트 - 경제 뉴스 - 북한은 미국과의 대화에 '관심'이 있습니다. 미국이 주도권을 잡을까요?

북한은 미국과의 대화에 '관심'이 있습니다. 미국이 주도권을 잡을까요?

청와대는 문재인 대통령이 이날 평창에서 북측 고위급 대표단을 만났다고 25일 밝혔다. 미국과 대화를 시작하겠다는 '전적인 의지'. 백악관은 25일 이에 대해 성명을 내고 “북한과의 모든 대화의 최종 결과는 한반도 비핵화여야 한다”고 밝혔다. 지난 26일 방한을 마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녀 이방카 청와대 보좌관은 북한의 북-미 대화 촉진 의도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았다. 문재인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인 총리는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최대 압박' 정책을 재차 강조했다.

북한은 그동안 미국과 대화할 의향이 없다는 무관심한 태도를 바꾸고 이번엔 미국이 주도권을 쥐겠다는 신호를 보냈다. 북한이 태도를 바꿔 미국과의 대화에 '관심'을 갖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평창에서 평창동계올림픽 폐막식에 참석한 북측 고위급 대표단과 만났다. 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남북관계가 더 폭넓은 방향으로 더 큰 진전을 이루길 바란다는 뜻을 밝혔고, 북한은 김정은 위원장도 그런 뜻을 갖고 있다고 화답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남북관계를 개선하고 한반도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하루빨리 북미대화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은 이를 인식하고 남북관계도 북-미관계와 병행 발전해야 한다고 천명했다.

북한이 미국과의 대화 의지를 공개적으로 밝힌 것은 최근 역사상 처음이다. 남북관계는 북-미 관계와 동시에 발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개막식 전 '의도하지 않은' 대화를 했다는 입장을 밝힌 것과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앞서 북한은 “북한은 미국과 대화를 구걸한 적이 없고 앞으로도 그러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스포츠는 스포츠이고 정치는 정치”라며 미국과의 접촉을 거부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비핵화 문제를 건드리려고요.

청와대는 간략한 성명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북한에 한반도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 미국과 대화를 시작하라고 촉구했다고 밝혔다. 한국 대통령은 주로 청와대에서 외국인 손님을 접대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외부 세계에서는 김영철 북한 국무위원장이 '천안함 사건'의 주모자이자 최대 야당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자유한국당이 김영철 방북을 강력하게 항의하자 문재인은 김영철을 평창에서 영접하기로 결정했다. 일부 여론에서는 폐막식에서 북한 강경파들이 미국과 대화하겠다는 신호를 보낸 것으로 보고 있는데, 이는 개막식 이후 부드러워진 펜스 부통령의 어조를 반영해 무조건 북한과 대화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이다. 한반도 문제는 매우 복잡한 문제이므로 한반도의 냉전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므로 모든 당사자가 인내심을 가져야 합니다. 미국이 북한에 일방적인 양보와 비핵화 동의를 요구한 것은 빠른 결과를 얻기 위해 서두르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