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금넷 공식사이트 - 경제 뉴스 - 2. 한중 자유무역협정에서 무역전환 효과의 역할을 어떻게 이해하나요?

2. 한중 자유무역협정에서 무역전환 효과의 역할을 어떻게 이해하나요?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에서 무역전환 효과의 역할은 한중 경제통합을 가속화하는 것이며, 다양한 전략적 효과도 낳게 될 것이다.

중국과 한국은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전문 초안 작성을 완료했다고 공식 발표하고 관세 양허와 관련된 협정 내용을 공개했다.

1. 글로벌 협상 효과. 이는 현재 세계 주요 경제권 간에 체결된 가장 중요하고 수준 높은 자유 무역 협정 중 하나이며, 세계 무역 자유화 및 투자 촉진 규칙 협상을 촉진하는 데 중요합니다.

2. 지역협력 효과. 중-한 자유 무역 협정은 일본과 대만과 같은 경제가 중국 본토와의 경제 자유 무역 협정에 대한 협상을 가속화하거나 업그레이드하고 궁극적으로 발전을 주도할 중일-한 자유 무역 지대를 구축하도록 촉구할 것입니다. 보다 포괄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아시아태평양 자유무역지대(FTAAP)의 궁극적인 설립을 촉진하기 위한 자유무역협정 협상입니다.

3. 양측 시위 효과. 한국은 미국의 동맹국으로서 중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앞장섰고, 이후 중국-호주 FTA와 함께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미국 동맹국들에게 중요한 실증 효과를 미칠 것이다.

4. 상호연결 효과.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으로 마침내 한국은 중국의 일대일로 이니셔티브에 동참할 수 있게 되었고, 중국과의 상호 연결을 가속화하고 유라시아 대륙으로의 통합을 가속화했다.

5. 브릿지 타이 효과. 한국은 앞서 유럽연합(EU), 미국 등 주요국과 FTA를 체결한 바 있고, 중국의 아시아태평양자유구역 구상을 지지하며, 환태평양전략경제동반자협정(TPP) 가입을 위해 협상 중이다. 한국 및 기타 국가 중국이 체결한 모든 자유무역협정 가운데 관세특혜대상이 가장 많은 것은 한·중 자유무역협정이다. 한국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FTA 발효 후 5년 안에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이 최대 1.25%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