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금넷 공식사이트 - 금 선물 - 행동금융학의 미래를 탐구하다
행동금융학의 미래를 탐구하다
행동금융학은 사람들이 불확실한 조건 하에서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완전히 이성적이지 않고 과신, 대표, 가용성, 프레임워크 의존성, 닻 및 조정, 손실 회피 등의 신념에 영향을 받아 체계적인 인지편차가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현대금융학은 이성인의 가설을 바탕으로 이성인의 불확실한 조건 하에서의 결정이 베이시안 법칙의 예상 효용 함수에 따라 엄격하게 이루어진다고 생각한다. 어떤 사람들은 비이성적이지만, 이런 비이성은 체계적이지 않고, 서로 상쇄되어 전체적으로 이성적이다. 이러한 실수가 완전히 상쇄될 수 없다면, 차익 거래자의 차익 거래도 이러한 실수한 의사결정자들을 탈락시켜 시장을 균형 상태로 되돌려 전반적인 이성에 이르게 할 것이다.
행동금융학은 전통적인 금융학의 기대분산 이론을 카하네만과 Tversky 의 Prospect Theory (1979+0979) 로 대체하고' 시카고인' 의 가설을' KT 인' 의 가설 (KT 인) 으로 확대했다. 그러나 행동금융학의 전망 이론은 아직 통일된 이론적 기초와 공리화의 기준이 되지 않았다. 서로 다른 연구자들은 일반적으로 특정 심리학 가설을 바탕으로 자신의 모델과 이론을 수립한다. 이로 인해 행동금융학의 여러 연구자들이 공리화 기준에 따라 토론할 수 없게 되면서 행동금융학의 과학성을 제한할 수 있게 되었다. 한 학과는 완전한 체계를 세워야 하는데,' 깨야' 할 뿐만 아니라' 서' 도 해야 한다. 행동금융학은 새로운 표준화된 행위자에 대한 가설을 형성하는 기초 위에서 전통금융학에서 효과적인 시장 가설의 지위와 유사한 핵심 이론 틀을 구축해 금융시장 현상과 인간 행동의 분석 기초로 삼아야 한다.
핵심의 기초이론과 통일의 새로운 가설이 없다면 학과 체계는 완전성과 내적 통일이 될 수 없고, 자산가격 책정과 회사 금융의 이론을 재구성할 수 없으며, 특색이 있는 독립학과를 건립할 수도 없다. 우리는 새로운 기초 이론이 이성적인 가설을 완화하는 전제하에 시장 현실에 더 가까운 이론이어야 하며, 동시에 낡은 이론은 새로운 이론의 특례로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통일되고 독특한 엄격한 논리적 분석 패러다임을 세울 필요가 있다
학과로서 반드시 다른 학과와 다른 독특한 분석 패러다임이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정보경제학은 도덕적 위험과 역선택에 기반을 두고 있고, 제도경제학은 코스정리에 기반을 두고 있다. 행동금융학은 인지심리학의 연구 성과를 투자자 행동 분석에 적용하는 것이 특징이지만, 현재로서는 엄격한 내적 논리 체계가 없다. 예를 들어, 어떤 심리적 요인이 금융 현상의 발생에 영향을 미칩니까? 어떤 심리적 요인이 투자자의 행동에 근본적이거나 결정적인 영향을 미칩니까? 그것의 영향 메커니즘은 무엇입니까? 이런 메커니즘이 사람들의 인식에 따라 사라질 수 있는지 여부 등등.
예를 들어' 과잉 반응' 과' 반응 부족' 이라는 두 가지 상호 연관된 현상에 대한 해석이다. Barberis, Shleifer, Vishny( 1998) 는 대표성과 보수성을 소개하고 Daniel, Hirshleifer, subramanyam (1) 은 대표성과 보수성을 소개했다 홍과 스탠 (1999) 은 트렌드 거래자와 차익 거래자의 상호 작용 메커니즘으로 해석된다. 한 학과의 한 현상에는 완전히 다른 해석이 많이 있다. 어떤 심리적 요인이 주도적 지위를 차지하고, 영향 요소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으며, 전도 메커니즘은 어떤가? 행위자의 가설에 대한 규범적이고 공리적인 기준이 없다는 좋은 설명이 여전히 없다. 이 학과의 기초 이론은 믿을 수 없다. 행동금융학은 아직 엄격한 내적 논리를 가진 분석 틀을 세우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동시에, 이 모델들은 왜 재무보보 발표 (BernardThomas, 1990) 및 배당금 분배 (Michael YTHALERWACK,1) 와 같은 사건들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지 설명할 수 없다. 그러나 신주 상장 (DharanIkenberry, 1995), 대리권 분쟁 (IkenberryLakonishok, 1993) 과 같은 다른 사건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효과적인 시장 가설의 확고한 지지자인 파마 (1998) 는 이러한 이른바 이상이 우연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상 () 이 과잉 반응과 반응 부족 사이에 무작위로 분포되어 효과적인 시장 가설에 부합한다고 생각한다. 행동 금융학은 내적 논리가 치밀한 통일분석 틀이 없기 때문에' 파마 비판' 에 강력하게 대응할 수 없다. 새로운 행동 기반 핵심 모델을 구축해야합니다.
행동금융학은 빠른 발전을 이루었지만 기본 이론적 틀에 기반한 핵심 자산가격 모델이 부족해 현대금융학의 핵심 기반을 뒤집을 수 없다. 예를 들어, 시장이 효율적인지 아닌지에 대한 논쟁에서 현대 금융은 엄밀한 내부 논리 체계와 자산 가격 이론의 끊임없는 발전으로 논쟁에서 열세에 처하지 않는다.
파마 (1970) 는 시장 유효성 검사가 예상 수익에 대한 공동 검사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파마 (1998) 는 반응이 부족하고 과잉 반응하는 현상이 모형 문제와 기술 문제로 인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모델이 좋지 않은 이유는 원래 CAPM 모델이 모든 위험을 반영하지 않고 모델 예측에 체계적인 편차가 있기 때문입니다. 제한 불량 모델에서 Fama, Fisher, Jensen 및 Roll( 1969) 은 시장 모델을 사용하여 회사별 사건이 시장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이벤트 분석을 위한 새로운 연구 방법을 만들었습니다. Fama 와 French( 1996) 는 CAPM 모델 대신 3 요소 모델을 만들었습니다. 기술적인 문제에 있어서, 주요 논란은 누적 초과수익 (CARs) 을 채택할지 아니면 매입하여 초과수익 (BHARS) 을 보유할지 여부이다. 통계적 편차 가치 중량 또는 등가 중량 등을 사용할지 여부. 파마의 결론은 서로 다른 자산 가격 책정 모델로 수익을 측정하고 다른 통계 방법을 채택한다면 이러한 소위 장기 수익 이상은 사라지고 시장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이다. Shefrin 과 Statman( 1994) 은 행동 자산 가격 책정 모델 (BAPM) 을 설정하고 CAPM 의 베타 값을 소음 거래자 위험과 기존 베타 값의 합으로 확장했지만 소음 거래자 위험은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 모델은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행동금융학에서는 핵심 행동 기반 자산 가격 결정 모델이 없기 때문에 시장 효율성을 테스트할 때 테스트 중 특정 시장의 무효성을 경험적 증거로 설명할 수 있을 뿐, 금융 자산의 가격 메커니즘을 이론적으로 설명할 수는 없습니다. 미래 행동금융학의 핵심 모델은 유한차익 이론과 전망 이론에 기반한 투자자의 비이성적 심리적 신념을 유기적으로 결합한 모델일 수 있다.
새로운 행동 기반 자산 가격 모델을 수립해야만 행동금융학이 실증하고 핵심 이론 모델이 적고 해석력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바꿀 수 있다. 묘사가 많고, 정량 분석이 적고, 지도적 차이가 있는 현상; 그래야만 시장 유효성 검증을 추진하고 파마의 비판에 강력하게 대응할 수 있다 (1998). 행동 기반 자산 가격 모델을 구축하지 않으면 현대금융학 핵심 이론의 한계가 이론과 실증적으로 충분히 해석될 수 없고 행동금융학은 광범위하게 인정받지 못한다. 명확한 연구 대상과 방법을 확립해야 한다.
심리학과 그 연구 방법은 행동금융학에서의 지위와 역할이 명확해야 한다. 이는 행동금융학이 경제학인지 심리학의 한 분야인지를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심리학은 인간 심리에 대한 연구이고, 행동금융학은 인지심리학이 불확실한 조건 하에서 인간의 의사결정에 대한 연구 성과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인류심리가 자산조합과 정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그러나 행위자의 심리는 어떤가, 어떻게, 어느 정도까지 자산조합과 정가 등에 영향을 미친다. 이 문제들은 매우 복잡하다. 이 새로운 분야에서는 성숙한 성과를 이용할 수 없어 학과의 발전과 명확한 연구 대상의 확정에 어려움을 가져온다.
학과 연구 대상의 확립은 학과 이론 체계 구축과 프레임워크 배치의 기초이다. 예를 들어 국제금융은 화폐금융의 관점에서 내외균형 목표를 연구하고 동시에 문제를 인식하는 독립학과다. 행동금융학의 연구 대상은 무엇입니까? 도대체 금융시장에서 사람들의 실제 행동을 설명하는 학과인가, 이상 현상을 설명하는 학과인가, 아니면 금융시장 현상을 설명하는 학과인가, 이 문제는 더 탐구해야 행동금융학 연구가 명확한 주선을 가질 수 있다. 그래야만 학과가 빠르게 발전해야 큰 혁신이 있을 수 있다.
한편 행동금융학의 많은 연구방법은 행동금융학 방법론에서 성격, 지위, 역할이 명확해야 하는 실험경제학의 실험방법이다. 행동금융학에서 사용되는 방법의 대부분은 전통금융이론의 틀 아래 있다. 이러한 방법 중 일부는 전통금융이론에 적응하고, 일부는 전통금융을 전제로 한다. 행동금융학은 새로운 가설을 바탕으로 새로운 기초이론과 분석 패러다임을 수립했다. 이는 행동금융학이 핵심 이론을 바탕으로 새로운 연구방법을 혁신해 새로운 분석 패러다임의 수요에 적응하고 특색 있는 방법론을 형성해야 한다.
학과의 연구 대상과 방법이 확정되면 어떤 이론이 해당 학과의 연구 범위에 속하는지, 어떤 이론이 해당 학과의 연구 범위에 속하지 않는지, 이는 한 학과의 연구 경계를 결정짓는다. 학과 연구 경계의 확립은 학과의 건립과 빠른 발전을 촉진할 것이다. 명확한 연구 맥락과 독특한 지식 포인트가 필요하다.
행동금융학의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이 확정되면 그 연구의 주선을 분명히 할 수 있다. 연구의 주선은 각 연구 과제 사이의 논리적 순서를 가리킨다. 어떤 지식이 기초지식에 속하는지, 어떤 것이 핵심 이론에 속하는지, 제목 사이의 관계는 무엇이고, 논리 체계가 무엇이고, 어떤 논리적 층을 단계적으로 발전시켰는가.
모든 학과에는 고유한 지식점 (기본 개념과 기본 이론 포함) 이 있다. 미시경제학의 탄력성, 무차이 곡선, 소비자 선택과 같은 것들이죠. 거시경제학의 총 공급, 총 수요, 국민 소득. 행동금융학은 전망이론, 유한차익 이론, 소음거래자 이론, 피드백 이론, 의사결정에 대한 사람들의 신념과 심리, 반응 부족, 과잉 반응과 같은 독특한 지식점을 형성했다. 하지만 어떻게 주요 연구 라인을 통해 이러한 지식 포인트를 연결하고, 논리적으로 치밀하고, 조직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논의할 가치가 있다. (윌리엄 셰익스피어, 햄릿, 지혜명언) 예를 들어, 유한차익 이론과 투자자의 심리와 신념은 행동금융학에서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이론적 기둥이지만, 둘 사이의 관계는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았다. 또 다른 예로, 전경 이론은 가용성, 대표, 앵커, 조정성의 세 가지 신념 편차를 제시한다. 이러한 기초지식점과 과신, 모호한 회피, 낙관적 등 지식점 사이의 관계와 논리는 분명하지 않다. 행동금융학의 패러다임은 진일보한 확장이 필요하다.
현대금융학은 전통적인 금융자산 (예: 주식과 채권) 을 연구한다.
정가와 함께 기업 융자와 옵션 등 파생물의 정가까지 확대된다. 행동금융학은 투자자의 심리와 행동이 기업활동, 옵션 등 파생품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증명했지만 행동금융학의 이론체계와 분석패러다임을 이용해 기업활동, 옵션 등 파생품 가격을 분석해야 한다.
예를 들어, 회사 재무 분석을 위해 Shefrin 과 Statman( 1984) 은 행동금융학을 통해 투자자가 현금 배당을 선호하는 현상 (예: 자기통제, 심리계좌, 후회 방지 등) 을 설명했다. 롤 (1986) 은 관리자가 회사 합병에 대해 오만하다는 가정을 제시했다. 그러나 회사 금융의 행동 분석은 여전히 부족하다. 전통적인 금융학에서 투자자는 이성적인 사람이고, 차이가 없고, 시장은 효과적이다. 그래서 회사 금융학의 핵심 기초 이론인 ——MM 정리가 등장한다. 즉, 특정 조건 하에서 회사 가치는 자본 구조와 무관하다. 그러나 투자자가 비이성적이고 시장이 무효라면, 다른 조건 하에서 투자자의 다른 행동이 회사 가치에 어떤 영향을 미칩니까? 이 영향이 회사의 투자 및 자금 조달 결정을 바꿀 것인지 여부; 그리고 변화의 메커니즘, 회사와 투자자 간의 상호 작용이 시장에 영향을 미칠지, 거시경제에 영향을 미칠지 여부는 행동금융학 패러다임 확대의 맥락에서 더 자세히 설명해야 한다.
또 다른 예로 선물 옵션 등 파생품 가격을 정하기 위해 기존 금융은 다이트리 모델과 Blackshaw 모델을 만들어 파생품 가격을 책정했다. Shefrin( 1999) 은 프레임워크 의존성, 참조점, 휴리스틱 편차 등 투자자 정서가 옵션 거래 및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지만 행동금융학의 분석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새로운 파생품 가격 모델을 구축하지는 않았다.
위의 문제는 행동금융학이 독립학과로서 극복해야 할 장애물이자 향후 행동금융학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들의 주요 탐구방향이다. 이러한 문제들 중 어느 것도 잘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행동금융학' 학습' 으로 이 분야를 묘사하는 것은 엄밀하지 않은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