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금넷 공식사이트 - 금 선물 - 통화 가치 하락과 금 보유량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나요?

통화 가치 하락과 금 보유량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나요?

참고용 기사 다시 게시:

2005년 주요 글로벌 금융 사건을 살펴볼 때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의심할 여지없이 금 가격의 비정상적이고 지속적인 상승입니다. . 최근 국제시장 금값이 연말 마감 요인으로 온스당 최고 540달러까지 급락했지만, 많은 시장참가자들은 여전히 ​​향후 금값 추세에 대해 확신을 갖고 있다. 이는 금이 점차 중국에서 새로운 투자 도구가 되었기 때문이 아닙니다. 결국 상하이 금시장 거래소의 연간 거래량이 106억 위안에 불과했기 때문입니다. 이는 단순히 인플레이션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로 이해될 수 없습니다. 사람들이 상품 거래 가격이 산업 주기를 예측하고 환율이 경제 주기를 예측한다고 믿을 때 금 가격은 더 미래 지향적일 수 있습니다.

이번 금값 상승을 '가격 비교 관계'로 해석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실제로 40년 전과 비교하면 국제시장의 석유가격은 30배, 최대 상승폭은 35배를 넘었고, 금값은 기껏해야 15배에 그쳤다. 뿐만 아니라, "9"11"을 기점으로 현재 구리 가격은 3배, 니켈 가격은 더욱 상승한 반면 금 가격은 80% 상승에 그쳤습니다. 금은 심각하게 과소평가되어 왔으며, 이는 금 가격이 향후에도 여전히 상승할 여지가 상당히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금과 일반 상품을 혼동하는 것은 금의 통화를 무시하는 것입니다. 부동산, 세계 통화 및 준비 도구로서의 수요 방향, 그리고 금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의심할 여지 없이 위에서 언급한 "가격 관계"보다 훨씬 더 중요하고 심오합니다. 브레턴우즈 체제, 금의 화폐적 기능, 특히 금의 국제 보유 지위가 다시 평가되기 시작했습니다.

금 준비율

세계 통화로서 금과 은의 출현은 다음과 같은 요인에 의해 주도되었습니다. 그 이전에는 은을 중심으로 다양한 국가의 화폐형태가 다양해졌으나, 이후 서구 산업혁명, 해상무역의 발달, 전쟁배상금 등의 영향으로 19세기에 이르러 금은 점차 은을 대체하고 확장되는 세계 무역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통화가 되었습니다.

금의 공급이 충분하거나 정확하게 금 공급의 증가가 보조를 맞출 수 있습니다. 국제 무역이 성장함에 따라 외채를 상환하고 수입을 유지하기 위해 국가가 설립한 통화에는 외환이 없고 금본위제의 출현이 발생했습니다. 금 공급 부족. 금 공급 증가보다 무역이 더 빠르게 증가하자 국가들은 금 보유량에 초점을 맞추던 이전 관행을 바꾸고 주요 채권자의 중앙 은행이 발행하는 국가 통화로 금을 보유하기 시작했습니다.

외환신용위기가 발생하지 않고 무역이 정상적으로 발전한다는 전제 하에 한 나라의 외환보유율(금과 외환보유액의 합계)은 50%에 도달하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 전체 수입액 대비 외환 보유액 비율(금과 외환 보유액 총액에 대한 외환 보유액 비율)이 더 높은 수준을 차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무역 발전 과정이 항상 순조로운 것은 아닙니다. , 자연재해, 특히 전쟁은 무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동시에 1931년 파운드화의 급격한 하락과 잦은 파운드화 가치 하락과 같이 세계 통화로서의 외환 신용도 신뢰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사람들은 국제 시장에서 예상치 못한 사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외환의 영향을 피하기 위해 더 높은 통화 준비율을 늘리고 유지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외환보유고 제도에 대한 환율 하락을 위해서는 외환 시장이 불안정한 기간 동안 총 금 및 외환 보유고의 비율을 높여야 합니다.

현대 국제 통화 시스템의 창시자인 로버트 트리핀(Robert Triffin)은 1913년에 출간된 "Gold and the US Dollar"라는 책에서 제공된 데이터에 따르면 역사는 이러한 논리를 따라 세계 통화 준비금 구조를 결정해 왔습니다.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세계 총 수입액 대비 세계 통화 보유고 비율은 37%였으며, 그 중 금 보유고가 94%를 차지했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급속한 무역 성장과 파운드 환율의 상대적인 안정성을 배경으로 대공황 전인 1928년에는 세계 통화 보유액 비중이 45%로 증가한 반면 금 보유 비중은 77%로 감소했다. 대공황 이후 '파운드-금'을 기반으로 한 금본위제도가 붕괴되면서 금의 위상은 다시 한번 공고해졌고, 전 세계 금 보유량 비율은 1933년과 1938년에 각각 92%와 94%로 늘어났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확립된 브레튼우즈 체제는 각국이 자국 통화보유액 중 외환보유액(주로 미국 달러)의 비중을 늘리고 이에 따라 금 보유액의 비중을 줄이도록 독려했다. 1949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금과 외환 보유액의 비율은 각각 74%와 26%였으며, 10년 후에는 각각 67%와 33%였습니다.

금본위제를 바꾼 사람

브레턴우즈 체제의 붕괴로 인해 금이 장기 보유 지위를 상실하고 심지어 비화폐적 추세가 되었다는 견해도 꽤 대중적입니다. . 이것이 중국을 포함한 많은 신흥 무역 강국들이 금 보유량의 지위를 무시하고 계속 약화시키는 주된 이유일 수 있습니다. 실제로 1971년 닉슨 행정부가 '금 창'을 닫았을 때 미국인들은 금 보유량의 증가가 아니라 금 보유량의 손실을 걱정했습니다. 현재까지 미국의 화폐보유고는 여전히 금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총 금 및 외환보유고는 12,748.4톤으로 그 중 금보유고가 8,133.5톤으로 전체 화폐보유고의 63.8%를 차지한다. , 이는 40여년 전과 거의 동일합니다. 미국은 세계 최대의 무역 국가이기 때문에 사람들은 국제 무역의 금본위제 상태와 이에 상응하는 국제 통화 시스템이 실제로 변하지 않았는지 의심하게 됩니다. 미국에 금 보유량에 대한 책임이 있습니다.

중국의 외환보유율이 너무 낮아 우려가 됐다. 이는 주로 1990년 이전의 상황을 가리킨다. 1980년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12억9600만달러, 금보유액은 1280만온스(트로이법으로 금 1톤은 3만2151온스, 환산하면 398.12톤)였다. 130,000온스의 금을 시장에 판매하여 금 보유량이 1,267만 온스로 감소한 후, 외환 보유고는 1981년에 27억 8천만 달러로 증가했습니다. 1989년까지 우리나라의 외환 보유액은 55억 5천만 달러로 증가했으며, 그해 금 가격 1온스 = 381.44달러를 기준으로 계산하면 1,267만 온스의 금 보유액은 약 48억 3,300만 달러에 달합니다. 이는 그 해 총 수입액 591억 4천만 달러에 해당합니다. 이에 비해 통화 준비율은 17.56% 미만입니다(자세한 내용은 표 1 "중국의 금 및 외환 보유고 개요(1978~2004)" 참조). ).

금 보유량은 오랫동안 변함이 없었기 때문에 2001년까지 외환보유액은 2,121억 6,500만 달러로 늘어났지만, 금 및 외환보유고는 모두 2,155억 9,800만 달러, 외환보유고는 2,155억 9,800만 달러로 늘어났다. 그 해 총 수입액 대비 금 보유량 비율은 88.52로 증가했지만, 금 보유량 비율은 1989년 46.55%에서 1.59%로 크게 감소했습니다. 2002년 국가 금 보유량을 1,267만 온스에서 1,929만 온스로 늘린 후 총 통화 준비금에서 금 보유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그해 2.2%에 그쳤습니다. 외환보유액의 급속한 증가로 인해 국내 금보유액 비중은 2004년말 1.28%로 감소하였고, 2005년 말에는 1% 미만으로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금본위제를 바꾼 것은 중국이었다고 보는 것은 어렵지 않다. 정확히 말하면 중국은 지난 27년간 공식 금 보유량을 93.67%에서 1% 미만으로 줄였다. 외채의 지급능력을 주로 금에 의존하게 만들었습니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는 중국의 외환보유고율이 2005년 말 기준 150%에 가까웠음에도 불구하고 금 보유율이 심각하게 낮고 외환시장 변동성을 고려하면 여전히 중국의 외환보유고 위험은 여전히 ​​존재한다는 점이다. 과소평가되었습니다.

무역 글로벌화 추세에 따른 외환보유액 위험

오늘날 다양한 국가의 통화 간에 형성되는 환율은 2010년에도 여러 나라의 금화와 은화의 품질 차이와 같은 의미를 갖습니다. 역사.

예를 들어, 일본은 금본위제를 시행하기 전에는 완옌(Wanyan) 통화 시스템을 따랐습니다. 금화의 금 함유량은 약 0.75그램이었고 0.5달러로 교환될 수 있었습니다. 금본위제가 시행된 후 새로 주조된 1엔 금화의 금 함유량은 1.5그램으로 이는 1달러의 금 함유량과 동일해 1엔=1달러 환율이 형성됐다. 그러나 금화나 은화의 순도를 바꾸는 것보다 지폐의 가치를 바꾸는 것이 훨씬 쉽다는 점을 인정해야 합니다. 외환보유액 비중이 너무 높거나 금 보유율이 낮은 국가일수록 외환보유액 리스크가 커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국가가 통화 가치를 바꾸도록 유도하는 요인은 불균형한 무역과 그에 따른 국제수지 상황에서 비롯됩니다. 거의 모든 국가는 자국 통화의 가치 상승을 꺼려합니다. 결국 수출은 경제 성장을 달성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외환보유액 리스크 예방 측면에서는 주요 무역적자국의 통화가치 하락을 방지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해당 국가의 통화가 주요 준비 수단인 경우 외환 보유고 비율이 높은 국가의 경우 통화 준비금 위험은 자명합니다.

무역 세계화가 국가 간 경제적 격차를 줄이고 세계 경제의 조화로운 발전을 달성하려는 본래의 의도와 역할을 갖고 있다는 점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이 과정에서 세계 무역에서 선진국의 비중은 점차 감소하는 반면, 개발도상국의 무역 지위는 그에 따라 높아졌다. 세계 무역 순위에서 중국의 급속한 상승은 의심할 여지 없이 이러한 견해를 보여주는 가장 좋은 증거입니다. 그러나 무역 세계화는 필연적으로 이전 단일 세계 통화 시스템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대체로 유로화의 출현은 세계 무역의 다양한 구조로 인한 다양한 국제 통화 시스템의 필요성을 반영합니다. 영국 파운드가 먼저 역할을 하고 그 다음 미국 달러가 주도하는 것보다 미국 달러와 유로가 세계 통화 역할을 하는 것이 훨씬 낫지만, 장기적으로는 여전히 무역 세계화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습니다.

국제 무역이 근본적으로 금본위제에서 벗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외환보유액이 막대한 국가나 이들 국가가 결성한 통화통합기구라도 금본위제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금 보유율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 한 금 본위제는 세계 통화로서 좋은 역할을 할 가능성이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아시아 국가의 금 보유량 비율이 낮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른바 '아시아 달러'를 환영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외환보유액을 다양화하는 목적이 단일 세계 통화 체제 하에서 외환 보유고의 위험을 줄이는 것임과 동시에 후보 세계 통화는 금의 비율 증가에 달려있다면 세계화 이전에 외환보유고 리스크에 대처하는 최선의 방법은 아마도 현재의 미국 달러 중심의 외환보유고를 이른바 통화바스켓으로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금 보유량 비율을 높인다. 상당한 금 보유량이 뒷받침되지 않는 비중앙통화(미국 달러와 유로 이외의 통화를 의미)를 외환보유고에 추가하는 것은 단일 외환보유고보다 더 큰 외환보유액 리스크를 수반할 수 있다고 믿을 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모든 국가는 자국의 이익을 고려하여 자국 통화의 환율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금의 보유 상태는 반드시 다시 평가될 것입니다.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지속적인 무역 적자를 겪고 있는 주요 국가가 자국 통화의 가치 하락을 허용하거나 적극적으로 수용할 경우 금의 가치 ​​하락은 가장 느릴 것입니다. 더욱이 현재 주요 무역 적자 국가는 주요 금 보유국이기 때문에 통화 가치 하락 과정은 종종 금 가격 상승 과정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금은 상대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거부할 수 없는 매력을 가지며 가장 안정적인 가치 보유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그렇긴 하지만, 금 가격 전망에 대해 낙관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