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금넷 공식사이트 - 회사 연구 - 한국은 언제부터 한자 사용을 중단했나요?
한국은 언제부터 한자 사용을 중단했나요?
1965년 한국의 '동아일보'에 실린 독도 영유권 분쟁 기사는 내용이나 구성 면에서 중국 신문과 매우 유사하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민족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즉시 '음성특수사용법'을 제정하여 모든 공문서에 표음을 사용하도록 규정하였다. 다만, 공문의 추가 조항에서는 한자와 표음문자의 병용을 허용하고 있다.
북한도 1949년 한자 사용을 폐지했다. 그러나 북한은 1968년 표음문자 사용계획을 수정하고 점차 한자교육을 재개해 초등학교 5학년부터 대학 1학년까지 한자 3,000자를 가르쳤다. 같은 해 박정희 당시 대통령은 1970년부터 공문서에 한자를, 교과서에는 한자를 사용하지 말라고 지시했다.
1970년부터 우리나라 초·중등학교 교과서에서는 한자를 없애고 중·고등학생들에게 흔히 사용되는 기본 한자 1,800자(중학교 900자, 고등학교 900자)만을 가르쳤다. 이렇듯 우리나라 20~40대 사람들은 한자를 거의 이해하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