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금넷 공식사이트 - 주식 시세 - 지난 10년간 상장기업의 자산구조 변화를 탐색 및 분석

지난 10년간 상장기업의 자산구조 변화를 탐색 및 분석

1. 현행 자본 구조

자본 구조는 기업의 다양한 자본의 구성과 비례 관계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자산-부채 비율로 측정됩니다. 기업의 자본구조는 기업이 자본조달을 위해 채택하는 다양한 자금조달방식에 의해 형성되며 기업의 자금조달구조의 핵심문제이다.

(1) 개요

Sichuan Changhong Electric Co., Ltd.는 1988년 6월에 설립되었습니다. 그 근원은 국영 Changhong Machinery Factory로 1958년에 설립되었습니다. 당시 이곳은 우리나라 최대의 군사 및 전기 제품 제조업체였습니다. 민간 ​​레이더의 중요한 기지였습니다. Changhong은 1970년대 초에 텔레비전을 개발 및 생산하기 시작했으며 1992년에 표준화된 주식 구조 조정을 시작했습니다. 1994년에는 Changhong Stock(A주 코드: 600839)이 상하이 증권 거래소에 상장되었습니다. 주요 사업은 비디오, 에어컨, 시청각, 배터리, 장치, 통신, 소형 가전 제품 및 영상 시스템의 R&D, 생산 및 판매입니다.

다음 차트는 상장 이후 몇 년간의 Sichuan Changhong의 자본 구조를 보여줍니다.

회계연도 자산 및 부채 자산-부채 비율

1994 3,349,807,251.65 1,642,534,100.00 52.78%

1995 6,413,782,013.09 3,361,600,982.13 52.41%

1996 11,054,308,626.42 6,610,208,887.23 57.28%

1997 ,784,895, 593.00 7,811,278,520.00 46.54%

1998 18,561,892,831.00 7,874,886,463.00 42.46%

1999 16,756,798,744.00 3,857,073,679.00 23.04%

2000 16,162,976,316.00 3,510,866,167.00 21.77%

2001 7,611,190,4 81.60 4,876,743,311.73 27.71%

2002 18,653,868,397.80 5,727,621,896.11 30.71%

2003 21,338,363,225.34 8,170,329,852.55 38.20%

2004 15,649,029,806.38 6,064,191,932.36 38.75%

위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최적 자본구조 지점은 대략 자산부채비율에 위치한 경우가 50%로 가장 낮은 가중평균자본비용은 9.81%이다.

최적 자본구조를 계산할 때 우선 정성적 분석을 통해 최적 자본구조의 범위를 대략적으로 나눈 뒤 최적해를 추정, 계산하면 자본구조의 적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계산. 예를 들어 수명주기 등 다른 분석 아이디어와 결합할 수 있습니다. Changhong의 주요 제품이 속한 분야를 분석한 결과, 대규모 전환과 생산 전환 없이는 성숙한 단계에 진입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회사의 성장 잠재력은 제한적일 것입니다. 성장과 위험이 줄어들면 Changhong은 자금 조달을 위해 외부 부채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2) 자본 구조 최적화를 위한 정책 분석 및 자금 조달 계획 마련

실제 부채 비율과 최적 부채 비율의 차이가 큰 기업에는 몇 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첫째, 최적의 비율로 이동할 것인지, 아니면 현 상태를 유지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둘째, 최적의 부채비율로 전환하기로 결정한 경우 기업은 재무 레버리지 요소를 신속하게 변경하거나 신중하게 전환하는 것 중에서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이 결정은 참을성 없는 주주나 관련 채권 평가 기관 등 외부 요인의 압력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셋째, 기업이 점진적으로 최적의 부채비율을 향해 나아가기로 결정한 경우, 새로운 자금조달을 신규 프로젝트 수행에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기존 프로젝트의 자금조달 구성을 변경할 것인지 결정해야 합니다.

신속한 조정의 장점은 기업이 자본 비용 절감, 기업 가치 상승 등 최적의 재무 레버리지 혜택을 즉시 누릴 수 있다는 것입니다.

재무 레버리지의 급격한 변화의 단점은 관리자가 회사 내에서 의사결정을 내리는 방식과 맥락을 변화시킨다는 것입니다. 기업의 최적 부채비율이 잘못 추정되면 갑작스러운 변화로 인해 기업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기업은 방향을 돌려 재무 결정을 다시 변경해야 할 수 있습니다.

창홍의 경우 동종업계 기업에 비해 재무레버리지가 낮다. 최적의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 기어링을 빠르게 또는 점진적으로 늘릴지는 일련의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1. 최적 자본 구조 추정의 신뢰성. 추정치의 노이즈가 클수록 회사가 점차적으로 최적 수준을 향해 이동하도록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2. 유사업체간 비교. 기업의 최적 부채 비율이 동종 기업과 크게 다를 경우 분석가와 신용 평가 기관이 그러한 변화를 호의적으로 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기업이 최적 수준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것을 선택할 가능성이 적습니다. 위 분석에서 창홍의 자산-부채 비율과 업계 평균 수준의 차이는 10~20%포인트 사이임을 알 수 있다. 2000년부터 창홍은 점차 부채비율을 높이며 업계와의 격차를 좁혀가고 있다. 수준.

3. 인수 가능성. 인수합병 대상기업의 특성에 대한 실증연구에 따르면 재무레버리지가 너무 낮은 기업은 재무레버리지가 너무 높은 기업에 비해 인수될 가능성이 훨씬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경우, 인수 자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상 기업의 미사용 부채 용량으로 조달됩니다. 따라서 추가 부채여력이 있으나 부채 추가를 미루는 기업은 인수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위험이 클수록 회사가 추가 부채를 신속하게 감당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4. 자금 조달의 필요성. Changhong은 기존 프로젝트의 정상적인 운영을 유지하거나 새로운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예측할 수 없는 향후 자금 요구에 대처하기 위해 자금 조달 완충 장치를 유지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은행 및 정부와의 협상에서 협상 카드가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Changhong은 초과 부채 능력을 신속하게 소진하고 최적 부채 비율 수준으로 신속하게 전환할 가능성이 없으며 점진적인 프로세스를 선택합니다.

위 분석을 바탕으로 창홍은 자본구조를 점진적으로 조정해 최적의 자본구조에 가까워져야 한다.

3. 창홍에서 본 우리나라 상장기업의 자금조달 특성을 살펴보면

창홍의 자금조달은 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 대부분의 상장회사의 자금조달 특성과도 동일하다. :

1. 외부 자금조달에 비해 경영자들은 이익잉여금을 사용하는 경향이 더 많은 것으로 보이며 Changhong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⑴증권과 달리 이익잉여금에는 발행 비용이 없습니다

주식 및 채권 발행과 달리 이익잉여금을 활용하여 투자하는 것은 발행비용이 들지 않으므로 주식발행보다 저렴합니다. 발행수수료는 대부분 고정되어 있어 회사주식, 채권 발행량이 많을수록 평균 발행수수료는 작아집니다. 발행 규모가 동일할 경우 자기자본 조달이 부채 조달보다 비용이 더 많이 듭니다.

⑵기업은 기업의 수익성을 확인하기 위해 많은 양의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없습니다.

기업은 주식이나 채권을 발행할 때 이를 제공해야 합니다.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이유는 경쟁업체가 귀중한 정보를 얻는 것을 방지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관행은 일반적으로 회사가 귀중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것에 대한 변명으로 간주하는 주주들에 의해 받아들여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기업은 외부 자금 조달을 모색할 때 이러한 딜레마에 빠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보를 제공하면 비즈니스에 가치가 추가되지만 경쟁업체가 정보의 이점을 빼앗을 경우 비즈니스에 해를 끼칠 수도 있습니다.

2. Changhong이 자기자본 조달을 선호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또한 Changhong 자신의 관점에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⑴ 현금 흐름이 부족하고 이익이 없습니다.

창홍 계좌의 엄청난 매출채권은 많은 수익이 현금유입으로 전환되지 않았음을 반영한다. Changhong은 거의 매년 현금 부족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높은 단기 은행 대출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부채 금융은 원리금 상환 일정에 현금 제약이 있기 때문에 Changhong은 자연 주식 금융을 더 선호합니다.

⑵대행사 비용.

자금 조달 결정을 내릴 때 부채 조달은 원금과 이자의 일정에 따른 지급을 요구하며, 이는 경영진이 처분할 수 있는 잉여 현금 흐름을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제약을 가합니다. 따라서 경영진은 지분 조달로 전환합니다.

⑶ 국유지분의 대주주 역시 지분금융을 선호한다.

상장회사 경영자들은 지분 조달을 선호할 뿐만 아니라, 국영주주들도 이를 선호하고 있다. 우리나라 자본시장은 소유구조가 복잡하고, "같은 주식이라도 권리가 다르고, 같은 주식이라도 가격이 다르며, 같은 주식이라도 이익이 다르다"는 등의 문제가 있습니다.

거래 가능한 주식의 주주는 높은 시장 가격으로 주식을 구매하는 반면, 비교환 주식의 양도 가격은 주당 순자산을 기준으로 책정됩니다.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주가수익률이 매우 높기 때문에 거래성 주식의 가격을 기준으로 책정된 배정 및 추가 발행은 비교역성 주식의 보유 가격보다 훨씬 높은 프리미엄을 가지므로 성장 혜택이 있습니다. 자기자본 조달로 인한 주당 이익은 자기자본 희석으로 인한 주당 자기자본 손실보다 훨씬 큽니다. 이런 상황에서 대형 국영주식은 당연히 지분금융을 활용해 배정이나 추가 발행 등을 통해 주당 순자산을 빠르게 늘리는 경향이 있다.

또한 1997년에는 1995년 창홍의 할당계획처럼 대주주들이 할당권을 포기할 수 있었는데, 일반주주들도 법인주주들이 10:7.41의 비율로 양도한 할당권을 받아들일 수 있었다. , 법인주식배분권 양도수수료는 0.2위안/주입니다. 이와 같이 자기자금조달에 해당하는 현금자산의 대부분은 거래주식의 주주들이 출연하는 반면, 대주주는 한 푼도 내지 않고 주당 순자산 증가의 혜택을 누리며, 프리미엄 부분을 점유하게 된다. 무료로 거래 가능한 주식.

물론 이 문제는 주식거래 개혁이 시행되면서 점차 해결될 것이다.

(4) 할당 자금의 수집 및 사용에 대한 효과적인 감독이 부족합니다.

창홍의 권리 이슈로 모금된 막대한 자금이 실제로 어떤 프로젝트에 투자됐는지, 이들 프로젝트의 수익률과 운영 조건은 어떠한지에 대한 적절한 정보 공개가 부족하다. 감독 및 정보 비대칭이 없으면 자금 흐름이 혼란스러운 계정이 됩니다. 자금 조달은 경영진의 잉여 현금 흐름을 증가시키며 이는 자연스럽게 경영진이 선호하지만 회사의 대리인 비용은 극도로 높아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