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금넷 공식사이트 - 주식 지식 - ETF 옵션과 주가지수 옵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ETF 옵션과 주가지수 옵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ETF 옵션과 주가지수 옵션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매매규칙에도 차이가 없습니다. ETF는 개별 주식에 대한 옵션인 반면, 주가지수 옵션은 주가지수 선물에 해당합니다. 옵션이 행사되면 실물인도 방식으로 주가지수는 현금으로 결제되며 주식이 필요하지 않다. 당분간 주가지수 옵션은 출시되지 않습니다.

주가지수 옵션은 1983년 탄생했다. 그 근간이 되는 객체는 주가지수이며, 만료 시 지수 포인트를 기준으로 현금으로만 결제가 가능하다. ETF 옵션은 1998년에 탄생했습니다. 그 주체는 ETF이고, 만기시 인도 대상은 현물 ETF입니다(ETF는 1993년에 탄생했으며 지수 거래 및 배분 도구입니다).

현재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주가지수 옵션에는 S&P 500 주가지수 옵션(미국), KOSPI200 주가지수 옵션(한국), Nifty50 주가지수 옵션(인도) 등이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영향력이 큰 ETF 옵션으로는 S&P 500 ETF 옵션(미국), Nasdaq 100 ETF 옵션(미국), Russell 2000 ETF 옵션(미국), SSE 50 ETF 옵션(중국) 등이 있습니다.

? 상품 특성상 주가지수 옵션과 ETF 옵션은 유사합니다. 마찬가지로, 주가 지수 옵션과 ETF 옵션은 지수 투자자에게 도움이 되는 세련된 위험 관리 도구입니다. 차이점은 주제, 대상 투자자 그룹, 거래 전략 및 상품 풍부도 측면에서 주가지수 옵션과 ETF 옵션 간에 명백한 차이가 있다는 것입니다.

첫째, 대상이 다릅니다. ETF는 지수의 추세를 추적하며, ETF와 지수의 추세는 일반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배당금 배분, 불완전 복제 등 ETF 운용사의 행태와 시장 유동성 수준, 청약 및 환매 비용, 효율성 등 시장 요인으로 인해 ETF의 추세와 가격, 추세와 수익률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기본 인덱스의 포인트.

둘째, 지원 대상 투자자 그룹에 차이가 있다. 주가지수 옵션 계약은 일반적으로 규모가 크고 현금으로 결제되므로 기관 투자자에게 인도가 매우 편리하고 적합합니다. ETF 옵션 계약은 일반적으로 규모가 더 작으며 ETF 시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ETF 투자자에게 더 적합한 ETF의 물리적 인도를 채택합니다. 이미지 및 텍스트 출처: Baidu Caishun 옵션

셋째, 거래 전략에 차이가 있습니다. ETF 옵션 투자자는 주가지수 옵션으로는 달성할 수 없거나 달성하기 어려운 선물 차익거래, 소득 증대(개방) 및 기타 거래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넷째, 다양성의 풍부함에 차이가 있다. ETF의 법적 속성은 증권입니다. 동일한 지수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ETF는 동일한 수의 ETF 옵션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종종 하나의 주가지수 옵션만 동일한 지수에 상장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에는 S&P 500 주가지수 옵션이 하나만 상장되어 있지만 S&P 500 ETF 옵션은 3개 이상 상장되어 있습니다.

ETF 옵션 시장은 계속 성장하고 있다. ETF 옵션은 지난 10년 동안 빠르게 발전했습니다. Caishun Options의 통계에 따르면 2018년 미국 ETF 옵션 시장의 거래량은 약 19억 건에 달했으며, 이는 2017년보다 17.2%, 2000년보다 134배 증가한 수치입니다. WFE 데이터에 따르면 2018년에 장내 스톡 옵션 거래량이 107억 건에 이르렀으며 여기에는 개별 스톡 옵션 44억 5천만 개, 주가 지수 옵션 43억 5천만 개, ETF 옵션 18억 9천만 개가 포함됩니다. ETF 옵션 거래가 전체 스톡옵션 거래량의 17.6%를 차지해 ETF 옵션이 옵션시장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