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금넷 공식사이트 - 주식 지식 - '이름도 정당하지 않고 말도 정당하지 않다'는 누구의 생각입니까?

'이름도 정당하지 않고 말도 정당하지 않다'는 누구의 생각입니까?

일종의 유교이론이다.

'이름이 틀리거나 말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이름이 틀리거나 현실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춘추시대 공자의 제자가 쓴 『논어』 제3장에서 발췌.

원문:

자로가 말했다: "위나라 왕이 아들이 정치에 참여하기를 기다리면 아들이 먼저 과시할 것인가?" 이름도 고쳐야 합니다!" 자로가 말했습니다. "그렇습니다. 얼마나 어리석은 일입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습니다. "군자가 자기가 말하는 것을 모르면 그 말이 옳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예와 음악이 흥하지 못하고, 예와 음악이 흥하지 아니하면 형벌이 합당치 아니하니 백성이 망할 것이니라.

번역:

자로가 말했다: "위나라 왕이 당신이 나라를 다스리기를 원합니다. 먼저 무엇을 하시겠습니까?" 공자께서 말했다: "먼저. 자로는 "이런 짓을 한 사람이 있나요? 당신은 너무 부적절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이름을 정정할 수 있습니까?"라고 말했습니다.

공자는 "종우 씨, 당신은 너무 무례합니다. 아, 군자는 항상 자신이 모르는 것에 대해 의심하는 태도를 취하며, 그의 평판이 올바르지 않으면 그의 말이 매끄럽고 합리적이지 않으면 일이 이루어지지 않을 것입니다. 음악이 성하지 못하면 형벌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형벌이 바르게 행해지지 않으면 백성이 어찌할 바를 모르느니라. 군자는 말과 행동을 함부로 대하지 않습니다."

추가 정보

'자록변'은 30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장에는 다양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내용에는 나라를 다스리는 방법, 공자의 교육사상, 개인의 도덕수양과 인품향상, '획일성이 없는 화합' 사상 등이 담겨 있다.

논어는 춘추전국시대에 쓰인 것으로 공자의 제자들과 제자들이 기록하고 편찬하여 재전송한 것이다. 한대에는 『논어』(20장), 『제논어』(22장), 『고대중국논어』(21장)의 세 가지 버전이 유통되었다. 동한말 정현은 『노논어』를 기본으로 하여 『제논어』와 『고한논어』를 참고하여 새 판을 편찬하고 주석을 달았다.

정현의 주석본이 유포된 후 제논어와 고대한어논어는 점차 유실되었다. 이후의 『논어』 주석의 주요 버전은 다음과 같습니다: 삼국시대 허연의 『논어』, 남북조 양나라 황간이 쓴 『논어』 , 송나라 형병의 『논어』, 청나라 주희의 『논어』 유보남의 『논어』 등이 있다.

논어는 철학, 정치, 경제, 교육, 문학, 예술 등 다양한 측면을 포괄하며, 내용이 매우 풍부하고 유교의 가장 중요한 고전이다. 표현에 있어서 『논어』의 언어는 간결하고 생생하여 인용문의 전형을 이루고 있다. 『논어』는 배열상 엄밀한 편찬 방식이 없으며, 각 항목이 장으로 모아져 있으며, 장과 장 사이의 긴밀한 연결은 없으나 대략적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이 있다. 장.

공자의 조상은 원래 송나라 귀족이었으나, 궁궐의 혼란을 피해 노나라로 이주했다. 공자의 아버지는 귀족이었지만 지위가 매우 낮았다. 공자(孔子)는 세 살 때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어머니와 함께 가난하게 살았습니다. 공자는 젊었을 때 '위관', '성천' 등의 소관을 역임했고, 노정공이 집권할 때 공자는 중도의 총리와 군서기를 역임했다.

노 정공공 12년(기원전 498년), 공자는 당시 노나라의 권력을 장악하고 있던 지순, 숙손, 맹순 가문과의 정치적 불화로 인해 노나라를 떠났다. . 다른 나라에서 그의 정치적 야망을 실현하기 위해 전국을 여행합니다. 그는 위(魏), 송(宋), 진(陳), 채(蔡), 초(楚) 등 여러 나라에 차례로 갔으나 그 어느 곳에서도 재사용되지 않았다.

말년에는 노(魯)나라로 돌아와 고대 문헌과 자료를 강의하고 정리하는 데 전념한 적이 있다. 노(魯)나라 역사가들이 기록한 《춘추연대기》에 따라 개정하여 중국 최초의 연대기 역사저작물로 만들었다. 공자는 3,000명에 달하는 제자들에게 강의를 했는데, 그 중 유명한 사람이 72명이었다.

바이두백과사전--공자·자로의 논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