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금넷 공식사이트 - 헤지 펀드 - 합자회사 사모펀드의 내부 거버넌스

합자회사 사모펀드의 내부 거버넌스

전형적인 합자회사 사모펀드의 특징은 소유주와 운영자가 분리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전제하에 펀드 운영 과정에서 정보 비대칭성과 위험 비대칭성이라는 두 가지 주요 문제를 해결하고 운영자를 방지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동시에 소유자의 이익에서 벗어나 전문 투자 인재의 관리 능력을 최대한 활용하고 다양한 이익 간의 최상의 균형을 찾아 펀드 운영 및 의사 결정의 효율성을 향상하고 극대화를 보장합니다. 이는 펀드 투자자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것이며, 이는 합자회사 사모펀드의 내부 지배구조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입니다.

1. 해외 사모펀드의 전형적인 내부 지배구조

그 중 파트너 회의는 일반적으로 신규 파트너 가입, 파트너 탈퇴, 합자회사 계약 변경, 합작기업의 청산 등을 결정하고, 합자회사의 업무집행에 관해 무한책임사원의 보고를 청취하며, 합자계약의 요건에 따라 무한책임사원의 업무집행을 감독합니다. ' 회의는 합작 기업의 투자 결정과 투자한 프로젝트의 운영에 대해 통제권을 행사하지 않습니다. 서로 다른 파트너는 파트너십에서 동일한 의결권을 갖습니다. 파트너 회의에서 결정된 사항은 자본 출자 비율에 관계없이 투표 수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부 해외 사모펀드도 자문위원회를 설치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일정 비율의 자본을 출자하고 파트너십 및 무한책임사원과 관련된 거래에 이해관계가 있는 유한책임사원으로 구성됩니다. 상충되는 투자 사항, 외부 투자 금액이 제한된 비율을 초과하는 투자 프로젝트 등은 일반 파트너의 권한을 대체하거나 초과할 수 없습니다.

무책임조합원은 펀드의 실제 운용자이자 펀드투자의 의사결정자 및 집행자로서, 파트너십 계약에서 정한 범위 내에서 펀드의 투자의사결정은 전적으로 펀드가 완료합니다. 일반 파트너이며 기타 제한된 제한 사항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정리하자면, 합자회사 사모펀드의 본래 취지는 '능력 있는 사람에게 노력을, 부자에게 돈을 기부'하는 것이다.

2. 국내 사모펀드 내부 지배구조의 타협

국내 신용투자 개념이 아직 사회에서 널리 인식되지 않았기 때문에 성숙한 투자자들의 점진적인 육성이 필요하다. 또한, 신뢰성과 매력도가 높은 무한책임사원이 부족하여, 국내 사모펀드의 무한책임사원은 자신의 의사결정 및 경영권의 일부를 유한책임사원에게 양도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국내 사모펀드의 단점을 반영한 것입니다. 국내 객관적 현실.

이러한 내부 거버넌스 구조의 가장 큰 특징은 펀드의 투자 결정에 대한 최종 결정을 내리기 위해 무한책임사원, 유한책임사원, 제3의 전문가***로 구성된 투자 및 의사결정 위원회를 구성한 것입니다. 만들기. 예: 국내 Jiafu Cheng Fund는 파트너십 계약서에 투자 및 의사결정 위원회가 무한책임 파트너가 임명한 2명, 유한책임 파트너 대표 3명, 외부 전문가 2명 등 7명으로 구성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재정 및 법적 배경이 있어야 합니다. 또한 국내 유명 사모펀드인 세쿼이아펀드도 이러한 형태의 거버넌스를 채택하고 있다.

3. 합자회사 형태의 사모펀드와 기업핵심

이러한 유형의 사모펀드는 합자회사 형태로 설립되지만, 펀드는 모두 모든 파트너가 만장일치로 결정하며 일반적으로 펀드 파트너 회의나 투자위원회는 회사 주주총회의 의사결정 방식과 유사하게 자본 출자 비율을 기준으로 투표합니다. 장강삼각주 지역 최초의 합자회사 사모펀드인 원저우 동하이 벤처 캐피털(Wenzhou Donghai Venture Capital)은 이 형식을 채택했습니다. 그러나 투자자들의 일관되지 않은 투자의지로 인해 투자사항에 대한 합의가 어려워졌고, 이는 결국 동해벤처캐피탈의 몰락으로 이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