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금넷 공식사이트 - 회사 연구 - 은둔 문화에 대하여

은둔 문화에 대하여

1. '은둔자'는 관직을 맡지 않고 은둔생활을 하는 사람을 말한다. 고대 중국에서는 사회 구성원을 학자, 농민, 노동자, 사업가의 네 가지 범주로 나누었습니다. 그 중 학자는 현대 사회의 지식인과 동일했습니다. 더욱이 각종 사료로 볼 때 이들 선인은 선비 계층의 정예인 경우가 많지만, 『당암』에 “높은 자리에 있는 자는 홀로 걷는다”, “높은 자리에 있는 자는 홀로 걷는다”고 한 것과 같다. 높은 자리는 명예를 피해 도망간다."

2. '학문이 뛰어난 자는 관직에 오른다'는 것이 선비들의 삶의 궤적인데, 왜 몸을 숨겨 관직에 오르지 못하는가? 많은 학자들은 고대 중국의 사상과 문화에서 은둔자가 존경과 칭송을 받았다고 믿습니다. 예를 들어 『장자재유』에는 “황제 즉위 19년에 세계를 순회하던 중 광성자가 공동산에 있다는 소식을 듣고 그를 만나러 갔다”고 적혀 있다.

세계의 성공적인 통치자가 은둔자를 만나는 이야기는 '진실'이 은둔자의 손에 있음을 암시합니다. 초월에 대한 도교 사상은 고대 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Feng Youlan은 "도교는 은둔자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믿었으며, 장자는 은둔 사상의 대가입니다. 라오족과 장족으로 대표되는 도교사상은 중국 지식인들에게 은둔적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누룩'을 제공했다고 할 수 있다.

3. 유교와 도교의 은둔사상은 겉으로는 비슷하지만 관심은 다르다. 유교는 은둔을 '세상이 어지러울 때'의 방편이자 수단으로만 간주하는 반면, 도교는 은둔을 학자의 이상적인 목적지이자 목적으로 믿습니다. 도교는 개인의 생명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생명 중시'의 가치를 강조함으로써 유교에서 추구하는 '명예와 의' 등의 가치를 완전히 부정합니다.

그러나 도교는 생존을 위해 세계에 합류하여 자신에 적응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도가의 세계에 합류하려는 목적을 지나치게 강조하지 않는다. 격리. 이를 통해 유교와 도교의 암자에 대한 생각이 다르고, 암자에 대한 방법이 서로 얽혀 있음을 알 수 있다.

4. 은둔자 개념의 진화. 판예는 『후한서-의민전』에서 처음으로 은인을 정식 역사에 기록했다. 이후 은인에 관한 많은 기록이 남아 있다. 그러나 은인에 관한 각종 사료를 보면 은인의 범주는 언제나 '학자' 계층에 자리잡고 있으며, 한 번도 무너진 적이 없다.

현대 학자 장량푸는 자신의 글 '중국 선비의 유형'에서 선인 개념의 의미를 약간 조정했습니다. 그는 선인을 선인과 승려라는 두 가지 범주로 명확하게 구분했습니다. 주로 은거하는 선비를 지칭하는데, 여기서 선인의 함의와 표기는 기본적으로 과거의 선인과 동일하며, 승려란 우리나라 승려와 준승의 종교 수행자를 가리킨다.

5. 중난산(忠南山)의 은둔 현상

중난산은 역사적으로 많은 불교, 도교 승려, 도교인들이 이곳에 정착한 중요한 곳이다. 불교와 도교의 암자와 궁정 등의 유물이 남아 있으며, 당시 불교 율종의 창시자인 도현(道藏)과 이웃이었던 손사묘(孫simiao) 등의 일화도 남아 있다. 중난에서는 백조가, 중난산에서는 십만 아라한이 포효했다. 진령산맥." 추가 정보

만족하기 위해 산과 숲으로 돌아감

어떤 관리들은 명성과 재산을 바라지 않기 때문에 일찍 은퇴합니다. 예를 들어 친숙한 Tao Yuanming은 목회자를 갈망했습니다. 평생 동안의 삶. 남조 양(梁)나라의 도홍정(道洪智)도 있는데, 그는 36세의 나이에 일찍 은거하여 스스로를 '화양은둔자'라 칭하며 근심없고 은둔생활을 하였다.

양무제(梁帝皇帝)가 즉위한 뒤 사람을 보내 관직을 맡게 해달라고 청했는데, 소 한 마리는 한가로이 풀을 뜯고 있고, 다른 한 마리는 고삐에 갇혀 있는 모습을 그렸다. 코에 이끌려 채찍질을 당하며 그림에 다음과 같은 시를 썼다. 코에 대고 채찍으로 때려야 한다.”

타오홍징은 그림과 시를 빌려 산과 숲으로 돌아가겠다는 결심을 표현한다. 양무제는 이를 보고 그 뜻을 알았다. 양무제는 비록 그를 벼슬로 삼지 않았지만 종종 편지를 보내 중요한 궁무에 관해 조언을 구하였기 때문에 도홍경이라고도 불렸다. 산의 총리."

'관이 없으면 가볍다'는 말처럼 청나라 건륭기의 '유뤄궈' 유용은 퇴임 후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다. “간단한 음식과 간소한 옷, 이 작은 축복이 나로 하여금 즐겁게 하고, 가정을 다스리고, 나라를 다스리며, 세계에 평화를 가져오면, 그런 것은 자식들이 감당하게 되리라는 마음입니다.” 여유로움과 만족감을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은퇴는 인생의 끝이 아니라 새로운 삶의 시작이다. 요즘은 평범한 사람들이 은퇴 후 손주를 데리고 시를 쓰고, 집새를 산책하고, 놀기도 한다. 얼후 또는 놀이 여열 속에서 강과 산 곳곳을 여행할 수 있는 것도 정말 재미있습니다!

참고 자료 인민일보 온라인 - 현대 은둔자와 고대 은둔자 문화

인민일보 온라인 - 고대인의 다양한 형태의 은퇴: 권력을 은둔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