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금넷 공식사이트 - 회사 연구 - 베르테르 효과에 취약한 사람들

베르테르 효과에 취약한 사람들

직원들의 ‘연쇄자살’은 많은 기업에서 일어났고, 해외 기업에서도 비슷한 사건이 발생했다. 2009년에는 유럽 3위 이동통신 사업자 프랑스텔레콤그룹의 직원이 18개월 동안 23명을 자살했다. 회사의 '대규모 해고, 전직, 구조조정'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프랑스텔레콤은 직원들에게 업무 진행 속도를 높이라고 계속 요구하고 있어 직원들의 정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자살은 '심리적 전염'이다. 한 사람이 자살을 선택하면 비슷한 상황에 처한 다른 사람들도 따라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를 '베르테르 효과'라고 합니다. 자살하려는 사람들이 문제 해결 방법으로 자살을 선택하는 이유는 '베르테르 효과' 때문이며, 그들이 직면하는 '문제'가 자살 사건의 근본 원인이라고 믿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직업적 스트레스의 발현 : 불합리한 보수로 인한 압박, 후진적인 경영모델과 비과학적인 구속으로 인한 동료 및 상사, 부하와의 관계악화, 이로 인한 부서간 대인관계 갈등. 열악한 조직 관계 압박, 직장에서 너무 바빠서 가족을 돌볼 수 없는 상황, 다양한 현장 안전 사고 및 숨겨진 위험으로 인한 구조적 및 직업적 안전 압박으로 인한 경력 개발 전망에 대한 압박. 이러한 직업적 압력은 직장에서의 사람들의 심리와 행동에 영향을 미칩니다.

프랑스 사회학의 '창시자' 뒤르켐은 '자살에 대하여'에서 개인의 사회적 관계가 소외되고 소외될수록 자살하기 쉽다고 말했다.

외국과 달리 우리나라에서 연달아 발생한 자살사고는 모두 1980~90년대 출생한 신세대 노동자들이고, 대부분이 생산 최전선에서 일하는 이주노동자들이다.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일하러 나가는 1억 5천만 명의 이주노동자 중 '신세대'는 60%, 즉 약 1억 명을 차지합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 태어난 많은 이주노동자들은 스스로를 전통적인 의미의 농촌인으로 여기지 않습니다. 이들 중 다수는 이주 부모와 함께 도시에서 자랐으며 개인 발전과 삶의 질에 중점을 두는 도시 생활에 익숙합니다. 1세대 이주노동자가 단순히 임금소득을 추구하고 '자신의 뿌리로 돌아가려는' 의지가 더 크다면, 새로운 이주노동자 세대는 자신의 권리와 개인적 감정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사회에 통합하려는 더 강한 충동을 갖게 됩니다. "일은 돈을 벌기 위한 것뿐만 아니라 개인 발전을 위한 더 나은 기회를 찾기 위한 것이기도 합니다."

호적, 의료, 주택, 사회보장 등의 차이로 인해 신세대 이주노동자들은 자신들이 '도시민'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1세대 이주노동자들에 비해 꿈이 있고, 자신감이 있고, 자립심이 강하고, 노동 및 생활 조건이 개선됐지만, 신세대 농민들은 더 심각한 도농 격차, 더 심한 소득 불평등, 더 심각한 사회적 불평등을 경험했다. 제외. 그들은 도시사회의 변방에 있으며, 견딜 수 없는 차별과 격차가 그들의 영혼을 침식하고 있습니다.

“소통할 사람도 없고, 부담감이 너무 많고, 파트너가 필요하고,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크다.” 신세대 이주노동자들은 사회적 경험이 부족하고, 견디는 능력도 부족하다는 점을 배제할 수 없다. 스트레스, 취약한 심리.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집중적 업무 유형과 높은 노동 강도로 인해 좌절감과 외로움이 더욱 커집니다. 동시에 기업의 정형화된 경영과 인간적 접촉 및 정신적 돌봄의 부족으로 인해 이들 젊은이들은 대인 커뮤니케이션 채널이 부족하여 우울증을 해소할 수 있는 곳이 없습니다.

직장에서 회사의 요구 사항이 개인의 능력과 자원을 초과하면 사람들은 긴장감을 느끼고 결근, 사직, 사고 증가, 신체적 피로, 무아지경, 비능률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 우울증과 자살 및 일련의 정신 질환. “심각한 심리적 문제를 갖고 있는 사람들은 자살 외에는 다른 ‘해결책’을 찾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계속되는 직원 자살로 인해 새로운 세대의 이주 노동자들의 정신 건강이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음을 사람들은 깨닫게 되었습니다.

조화로운 대인관계는 행복한 감정을 가져오고, 외로움과 두려움, 심리적 고통을 줄여주며, 불행을 해소하여 심리적 스트레스를 줄여줍니다. 공장의 폐쇄적인 환경, 엄격한 계층적 관리, 냉담한 대인관계는 의심할 여지 없이 젊은이들의 자신감과 인성에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심천에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도시 이주노동자들의 전반적인 정신건강 수준은 낙관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증상은 뚜렷한 불안, 쉬운 두려움, 쉬운 육체적 피로와 활력 부족이다. 정신 건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합니다. 요구는 크지만 충족되지 않았습니다. 그 중 심리상담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41.9%였고, 이전에 심리상담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는 2.4%에 불과했다.

관련 전문가들은 직원들의 심리적 문제는 개인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회사의 성과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영국 연구에 따르면, 스트레스로 인한 건강 문제는 직접적인 의료비와 간접적인 결근 등의 형태로 매년 GDP의 최대 10%에 달하는 비용을 발생시킵니다.

“사람의 감정은 매우 섬세합니다. 기업은 직원의 정신 건강에 진심으로 관심을 갖고 심리적 문제를 해결해야 직원이 걱정하지 않고 자신의 재능을 발휘하고 더 큰 잠재력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기업이 심리 상담 메커니즘을 구축해 효과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하고, 정기적인 교류와 오락 활동을 조직하고, 직원들을 위한 '진로 계획'을 세워 젊은 직원들이 '인간적 감동'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모든 기업은 법을 준수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며 기업 윤리를 따라야 하며 누구도 통제할 수 없는 섬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북경대학교 사회학 교수 Xia Xueluan은 이를 희망합니다. 기업의 의사결정자들은 직원들의 정신건강의 중요성을 조속히 깨닫고, 이러한 책임을 사회에 미루기보다는 사회적 책임을 더 많이 떠맡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