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금넷 공식사이트 - 회사 연구 - 펑만 저수지에서는 낚시가 허용되나요? Fengman Reservoir는 재미있나요?

펑만 저수지에서는 낚시가 허용되나요? Fengman Reservoir는 재미있나요?

만만저수지는 수십년의 역사를 지닌 중국 동북부의 대규모 인공저수지이다. 이는 또한 북부 지역의 중요한 수자원 보호 프로젝트이기도 합니다. 수십 년 동안 생태학적으로 균형 잡힌 개발과 보호를 거친 후 이곳은 유명한 어장이자 수력 발전소가 되었습니다.

펑만저수지는 생소하신 분들이 많겠지만 중국의 대규모 인공저수지 중 풍만저수지는 단연 '베테랑'입니다. Fengman 수력 발전소의 명성은 더욱 울려 퍼지며 "중국 수력 발전의 어머니"로 알려져 있습니다.

처음에는 발전소의 발전 규모가 작았지만 지자체의 개조 및 건설 이후 발전 용량이 꾸준히 증가하여 점차 동북부의 주요 발전소로 발전했습니다. 전력망 시스템.

2013년 만만댐이 침수됐다.

펑만 수력발전 용량은 상당히 양호하며 설치 발전 용량은 554,000킬로와트, 평균 연간 발전량은 18억 9천만 킬로와트시, 연간 최대 발전량은 27억 5천만 킬로와트시이다. 2000년 5월 저수지가 건설된 이후 저수지의 누적 발전량은 1,111억kWh에 달해 삼협수력발전소의 연간 발전량을 넘어섰다. 대략적인 추정에 따르면 Manman Hydropower는 최소 250억 위안의 발전 이익을 창출했습니다.

풍만저수지는 발전 외에도 주목할만한 두 가지 대상이 있는데, 하나는 수산자원이고 다른 하나는 '질병댐'이다.

천연 "물고기 은행"이지만 그 잠재력은 여전히 ​​활용되고 있습니다.

풍만저수지는 송화호로 유명하다. 송화호는 송화강 중류와 상류에 위치한다. 저수지 지역은 길이가 약 180km, 너비가 3~4km로 좁고 가지가 갈라져 있습니다. 평균 수심은 20-50m입니다. 수면 면적은 55,000헥타르에 달하며, 최대 저수량은 108억㎡에 이른다. 저수지는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천연 2차 혼합림이 넓게 분포해 있어 환경이 매우 뛰어나다. 땅."

송화호 어류자원에 대한 조사는 1994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중국의 런목롄(仁木連) 등 전문가들은 만만바(송화호 포함) 해역의 어류 자원을 기록한 '헤이룽장성 어류군'이라는 책을 썼다. 호수, 백산 등 수역)에는 어류 62종, 14과 50속에 속한다.

송화호에는 정말 '좋은 물고기'가 많지만 그 수가 얼마나 많은지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 1990년대 후반, 현지 노년 어부가 호수에서 무게 15kg에 달하는 거대 쏘가리를 건져냈다고 합니다. 2014년에도 또 다른 어부가 길이 400m짜리 그물로 길이 60cm, 무게 9.5kg의 아오화를 잡았다. 나중에 언론에 보도되어 현지에 널리 유포되었습니다.

송화호의 쏘가리

이후에도 간헐적으로 비슷한 수산자원 조사가 이뤄졌다. 2013년 길림성 수산기술연구소 등이 '길림수자원관리회'에 발표한 기사에서는 송화호 저수지 지역에 약 50종의 어류가 서식하고 있으며 그중 토종 어류가 40종 이상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남획 및 기타 이유로 우수리 흰살 생선, 흑룡강 회색, 버봇, 오징어와 같은 냉수 어류가 호수 지역에서 기본적으로 사라졌습니다. 톱풀 잉어와 흑룡강 홍어도 크게 감소하여 상류와 지류에서만 나타납니다. 남부 메기는 산란장의 환경 변화로 인해 추적이 어렵습니다.

최근 조사(아래 위치 참조)에서 연구원들은 엄청난 노력을 기울여 7,356마리, 총 36.4kg의 물고기를 잡았습니다. 종 식별 후 물고기는 41종으로 분류되었습니다. 미노우, 우수리 흰살생선, 참치, 바라쿠다 등 냉수성 토착어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이론적으로 송화호는 어업 개발에 자연적인 이점이 있습니다. 전문가들도 전문적인 평가를 내렸습니다. 송화호의 양어장 수면 면적은 34,000헥타르에 달할 수 있습니다. 호수 지역의 천연 미끼 기반을 기준으로 수면 1헥타르당 307kg의 물고기를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위의 어류 생산성을 바탕으로 송화호에서는 원칙적으로 연간 10,000톤 이상의 천연 수산물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호수 지역의 평균 어획량은 약 3,000톤(300만kg)에 불과해 예상 생산량의 약 30%에 불과하다. 다만만 댐은 1942년에 강을 막았고 1943년에 전력을 생산하기 시작했습니다. 풍만댐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 중력댐으로 총 길이 1,080m, 높이 91.7m, 콘크리트 소모량 194만m이다. 그러나 역사적인 이유로 인해 댐 건설은 품질과 수량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못했고 "허점이 가득했다"고 할 수도 있었습니다.

실제로 댐 전체 물량의 89%만 타설됐고, 댐 본체도 사업에서 요구하는 설계 높이에 미치지 못했다. 일부 댐 구간은 댐 꼭대기에서 15m 떨어져 있습니다. 콘크리트 품질이 만족스럽지 못했고 벌집 모양의 구멍이 많이 나타나 댐에 심각한 누수가 발생했습니다.

세로 조인트에는 키 홈이 없으며 방수 동판의 위치가 정확하지 않습니다. 오버플로 게이트도 설치되지 않았으며 대량 물 기초의 굴착 깊이가 표준을 충족하지 않습니다!

이런 '단점'은 앞으로 풍만댐에 엄청난 숨겨진 위험을 안겨주었다. 게다가 외부 요인의 침식도 '은밀하게 피해를 입히기' 시작했다. 콘크리트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요인으로는 주로 풍화, 부식, 동결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침식은 Fengman Reservoir에 동시에 존재하며, 저온 결빙으로 인해 가장 큰 피해가 발생합니다.

만만바는 한랭 온대 반습윤 기후대에 위치해 있으며, 연평균 기온은 4.4도, 동결 기간은 5개월이다. 겨울에는 기온이 영하 20~25도에 머물 때가 많고, 호수 표면의 얼음 두께는 1m에 이릅니다. 풍만댐 바닥호수 수온은 영하 4도, 상하 수온차가 20~30도에 달해 콘크리트의 팽창과 수축 효과를 강화시켜 건물의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재료.

1988년이 되자 댐 표면의 시멘트 가루가 심각하게 손상되고 부드러워지고 벗겨지기 시작하면서 위기가 찾아오기 시작했다. 댐 상류의 피해 면적은 한때 1300㎡에 달했고 하류의 피해는 더욱 심각했다. 넘침면이 없다면 파열면은 6100으로 계산할 수 있고, 손상된 균열의 깊이는 10~40cm, 심지어 깊이가 1m가 넘는 곳도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통해 당시(1988년) 풍만댐은 수명이 다해 홍수조절 위험이 급격히 높아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전문가팀이 풍만댐에 대한 정기점검 및 검증을 실시한 결과 범람댐 구간에서 누수 및 동상균열이 발견됐다. 이에 2007년 국가전력규제위원회는 만만댐을 '병든댐'으로 판정했다.

이후 콘크리트 그라우팅, 댐 보강 등의 유지관리 조치를 통해 만만댐의 실제 사용수명이 연장됐고, 주요 지표도 설계에 명시된 기능적 요구사항을 일시적으로 충족했다. 수명을 30년 연장한 후, 2006년 5월, 풍만저수지의 낡은 댐 옹벽에 폭 5m의 틈이 생기고, 그 틈새를 통해 송화호가 천천히 새 댐으로 흘러들어갔습니다. 이후 80년 넘게 운영해온 구 풍만댐은 공식적으로 역사의 무대에서 물러났고, 5년 동안 건설 중이던 신댐이 대체 운영을 맡게 됐다.

현재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콘크리트 댐의 경제적 사용수명은 50년이다. 그러나 풍만댐은 지속적인 신축과 재건축, 확장을 통해 수명을 30년 연장했다. 이렇게 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더 중요한 것은 만만댐 사례가 우리나라 수자원 보호 프로젝트 건설에 희귀한 자료를 제공하고, 새로운 콘크리트 중력댐 건설에 대한 경고와 참고가 된다는 점이다.

요컨대, 엄격한 설계와 시공에도 불구하고 댐에서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구리벽과 철벽'으로 알려진 삼협댐은 한때 '균열 사건'이 발생해 각계각층에서 많은 논의를 불러일으켰습니다. 따라서 프로젝트의 품질 확보를 전제로 댐에 대한 일상적인 검증과 점검, 유지관리가 필수적이다. 엄격하게 처리하고 경계심을 높이고 반복적인 점검을 실시해야만 숨겨진 위험을 싹쓸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