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금넷 공식사이트 - 회사 연구 - 펀드 등급에 대한 질문

펀드 등급에 대한 질문

펀드의 순가치 증가율은 더 높지만 위험도 더 높을 수 있으므로 순가치 증가율만으로 펀드의 성과를 평가하는 것은 포괄적이지 않습니다. 인컴과 리스크 측면에서 모두 고려해야 하는 샤프지수는 수익률과 리스크를 동시에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지표이다. 샤프 지수라고도 알려진 샤프 비율은 1966년 노벨상 수상자인 윌리엄 샤프(William Sharp)가 처음 제안했습니다. 이는 펀드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전 세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준화된 지표가 되었습니다.

샤프비율 계산 및 의미

샤프비율 계산은 매우 간단합니다. 펀드의 순가치 증가율에서 무위험이자율을 뺀 값을 평균으로 나눕니다. 펀드의 순가치 증가율의 표준편차를 통해 해당 펀드의 샤프비율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단위 리스크 펀드의 순가치 증가율이 무위험 수익률을 초과하는 정도를 반영합니다. 샤프비율이 양(+)이면 측정기간 동안 펀드의 평균 순가치 증가율이 같은 기간의 은행예금 금리를 무위험이자율로 적용한 경우를 의미한다. , 즉 은행예금보다 펀드에 투자하는 것이 낫다는 뜻이다. 샤프 비율이 높을수록 펀드의 단위 위험에서 얻는 위험-수익률이 높아집니다.

샤프비율 규모에 따른 펀드 성과 순위를 매기는 이론적 근거는 투자자가 무위험 금리로 차입을 할 수 있다고 가정한 것인데, 이렇게 적정 조달비율을 결정하면, 샤프비율이 높은 펀드는 동일한 위험에도 불구하고 샤프비율이 낮은 펀드보다 항상 더 높은 투자수익률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펀드 A와 B가 있다고 가정합니다. 펀드 A의 연간 평균 순 가치 증가율은 20%이고 표준 편차는 10%입니다. 위험이자율이 5%인 경우 펀드 A와 펀드 B의 샤프비율은 각각 1.5와 2입니다. 샤프비율에 따르면 펀드 B의 위험조정수익률은 펀드 A보다 좋습니다. 이를 좀 더 명확하게 설명하자면, 무위험이자율 수준에서 같은 금액(조달비율 1:1)의 자금을 투자하여 B에 투자하면 됩니다. 그러면 B의 표준편차는 2배가 되어 A와 같은 수준입니다. 같은 수준이지만 이때 B의 순가치 증가율은 25%(즉, 2#15%-5%)로 펀드 A보다 높습니다. 월간 샤프지수와 연간 샤프지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일반적입니다.

샤프지수를 사용하여 우리나라 펀드 성과 측정

국제적으로 샤프지수는 일반적으로 36개월 순자산 증가율과 3개월 단기 펀드를 사용하여 계산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증권투자 펀드는 순자산을 일주일에 한 번만 발표하고 개발 이력이 짧기 때문에 샤프 계산에서는 36개월의 순자산 데이터를 갖고 있는 펀드가 많지 않습니다. 비율에서는 지난 12개월 동안 4주를 1개월로 사용합니다. 월별 순자산 증가율을 계산 기준으로 사용합니다. 또한 우리나라는 아직 단기국채를 발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무위험수익률 선정에는 상하이증권거래소의 28일 국채 환매율을 사용하였다.

여기서는 2000년 10월 27일부터 2001년 10월 26일까지를 조사기간으로 하여 30개 펀드의 샤프비율을 계산하였다(별표 참조). 전체 펀드의 월간 샤프비율이 마이너스(-)인 것으로 나타나 해당 펀드의 투자성과가 국채 환매만큼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샤프 비율이 음수이면 크기별로 정렬하는 것이 의미가 없습니다.

펀드의 월평균 순가치 증가율은 펀드 성과의 절대적인 척도입니다. 이 지표에서 펀드 Xinghua, Fund Tongzhi 및 Fund Xinghe가 가장 좋은 성과를 거두었고, Fund Jinghong 및 Fund Kaiyuan이 가장 좋은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 Fund Hanxing이 최악입니다. 펀드 Xinghua와 Fund Tongzhi 두 펀드의 월평균 순가치 증가율을 제외하고 나머지 28개 펀드의 월평균 순가치 증가율은 모두 마이너스 성장을 보인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해당 펀드의 투자성과가 전체적으로 불만족스러웠습니다.

펀드 리스크의 척도로 표준편차를 사용하면 펀드 Yuhua, 펀드 Tongzhi 및 펀드 Xinghe가 가장 낮은 순 가치 변동성을 가지며 펀드 Jinyuan, 펀드 Taihe 및 펀드 Kaiyuan이 가장 낮습니다. 가치 변동이 가장 위험합니다.

30개 펀드의 월평균 순자산 증가율과 표준편차의 스피어만 순위 상관계수는 -0.54로 해당 펀드의 인컴과 리스크가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이 클수록 펀드의 순 가치 증가율은 낮아집니다. 이러한 관계는 일반적인 위험-수익 관계에 위배되며, 이는 우리나라의 증권 투자 자금이 평균적으로 효과적인 투자 포트폴리오가 아니며 포트폴리오 효율성이 좋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샤프지수 이용 시 주의할 점

샤프지수 계산은 매우 간단하지만, 샤프지수의 적용가능성에는 여전히 주의가 필요하다. 특정 응용 분야에서는: 1. 위험 조정 수익을 위해 표준 편차를 사용하는 것은 검토 중인 포트폴리오가 전체 투자자 투자를 구성한다고 암묵적으로 가정합니다. 따라서 샤프비율은 다수의 펀드 중 특정 펀드의 매수를 고려할 때 중요한 기준으로만 활용될 수 있습니다. 2. 표준편차를 위험지표로 활용하는 것도 부적절하다고 판단됩니다. 3. 샤프 비율의 유효성은 차입과 대출이 동일한 무위험 이자율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가정에 달려 있습니다. 4. 샤프 비율에는 기준점이 없으므로 그 크기 자체는 의미가 없으며 오직 다음과 같은 경우에만 가치가 있습니다. 5. 샤프 비율은 선형이지만 효율적 프론티어에서 위험과 수익 사이의 변환은 선형이 아닙니다. 따라서 샤프지수는 표준편차가 큰 펀드의 성과를 측정하는데 편향되어 있습니다. 6. 샤프지수는 포트폴리오 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순전히 샤프가치의 크기만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데에는 큰 문제가 있습니다. 7. 샤프 비율은 다른 많은 지표와 마찬가지로 펀드의 과거 성과를 측정하므로 향후 운영은 단순히 펀드의 과거 성과를 기반으로 할 수는 없습니다. 8. 계산 측면에서 샤프 지수에도 안정성 문제가 있습니다. 샤프 지수의 계산 결과는 소득 계산을 위한 기간 및 시간 간격 선택과 관련됩니다.

샤프지수는 위와 같은 한계와 문제점이 많지만, 계산이 간편하고 많은 가정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 때문에 실무에서는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