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금넷 공식사이트 - 주식 시세 - 일본 국방부의 핵무장 이론

일본 국방부의 핵무장 이론

*** 같은 통신사는 일본 정부가 북한의 미사일과 핵실험을 핑계로 미일동맹 강화 등 군사 분야에서 일련의 주요 조치를 취했다고 논평했다. 국방청을 국방부로 승격시키는 등 '핵무장론'을 내세워 현행 핵정책에 영향을 끼치는 것도 그 조치 중 하나다. 1968년 1월 사토 에이사쿠(佐藤榮佐) 전 일본 총리는 국회에서 시정연설을 통해 '핵무기를 제조하지 않고, 보유하지 않고, 운반하지 않는다'는 '비핵 3원칙'을 제시했다. 1971년 11월 일본 중의원 본회의에서는 '비핵 3대 원칙'을 일본 정부의 핵무기 기본방침으로 삼는 것이 의결됐다. 그러나 올해 10월 중순부터 일본 정계 일각에서는 '핵무장론'을 거듭 주장하며 '비핵 3대 원칙'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모습이 자주 나오고 있다. 이 문제를 가장 먼저 제기한 사람은 집권 자민당의 나카가와 쇼이치 정치위원장이었다. 나카가와 총리는 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일본이 핵무기를 보유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허용되어야 한다고 말하면서 "헌법은 일본의 핵무기 보유를 금지하지 않는다"고 선언했습니다. 이 성명은 아소 다로 일본 외무상이 반향했다. 아소 총리는 이 주장을 여러 차례 반복해 일본 내외에서 비판과 의혹을 불러일으켰고, 일본 정부가 오랫동안 추구해 온 '비핵 3대 원칙'에 대한 도전으로 여겨졌다. 이에 일본 야당은 아소 다로에 대한 불신임안을 제안했다. 실제로 일본 주류 여론은 '핵무장론'을 지지하지 않는다. 요미우리 신문이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 중 79.9명이 '비핵 3대 원칙'의 계속 추구를 지지하는 반면, '비핵 3대 원칙'의 수정을 받아들일 수 있다고 답한 사람은 17.6명에 불과했습니다.

그러나 나카가와와 아소는 모두 자민당 내 실세이며, 그들이 반복하는 '핵무장론'에는 분명 숨은 의도가 있다. 방위청의 국방부 승격, 미-일 동맹 강화, '핵무장론'의 등장은 별개의 사건이 아니다. 러시아 '인디펜던트'의 한 기사는 이는 일본이 국방개혁을 위해 적극적으로 '견고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기사는 “국방 개혁을 둘러싼 논쟁에서 일본의 주요 정치인들은 금기를 깨겠다는 의지를 보여왔다”고 전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 정치의 가장 큰 “금기”는 의심할 바 없이 헌법 개정이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올해 1월 4일 자민당이 참의원 선거에서 승리할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해 이끌어가는 것이 올해 국정의 초점이라며 이달 중 의회에서 개헌 절차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은 미국의 주도 하에 군국주의를 제한하는 평화헌법을 제정했는데, 이 헌법 9조는 “일본은 전쟁을 개시하기 위한 국가권력의 사용, 무력의 위협, 무력 행사를 영원히 포기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일본은 육·해·공군 및 기타 전력을 유지하지 않으며, 국가의 교전권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헌법 9조를 개정한다는 것은 일본이 전후 오랫동안 고수해온 '전속방위' 원칙을 완전히 포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비평가들은 이것이 일본과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불안정하게 만들 것이라고 믿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