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금넷 공식사이트 - 주식 시세 - 불교의 팔식(八識)이란 무엇입니까?

불교의 팔식(八識)이란 무엇입니까?

다음은 유원춘의 『팔의식에 관한 간략한 이야기』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불교의 '유의식론'은 '오교십원'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알라야 의식이 확립되고 결정된다.

제8의식의 산스크리트어 이름은 알라야(Alaya)인데, 이는 저장하는 능력을 뜻한다. 제8의식은 마치 창고처럼 선과 악의 카르마의 씨앗을 담고 있을 수 있습니다. 선과 악의 카르마의 씨앗은 제6의식(즉, 일곱 번째 의식)의 생각하는 마음에 의해 생성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인간의 모든 행위를 일컫는 것으로, 모든 법의 씨앗은 처음 일곱 가지 마음에서 배양됩니다. 여덟 번째 마음은 숨겨진 마음이며, 그 자체가 법의 일부입니다. 자기애 집착은 제8의식을 일시적으로 버리지 않고 항상 제7의식 그 자체로 붙잡고 있으며, 항상 제7의식을 동반한다는 것입니다.

제8의식은 어떻게 생겨나는 걸까요? 또한 원인과 조건의 결합은 뿌리, 환경, 의도, 씨앗의 네 가지 유형으로 구성됩니다. 뿌리는 제 8의 의식의 기초가 되는 것을 말합니다. 환경은 뿌리, 몸, 대상을 말하며, 의도는 항상 일어나는 여덟 번째 의식의 기능을 말하며, 세 가지 선악이 충족됩니다. 카르마에 따라 태어나는 의식입니다. 카르마는 씨앗을 오염시키지 않으므로 그 특성은 잊혀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자세히 살펴보지 않고도 계속되는 상태가 바로 자연 상태입니다. 실체와 실재의 상태이며, 처음 다섯 가지 의식에 널리 퍼져 있고, 악업의 씨앗이 강력할 때 욕망계, 색계, 무색계에서 분명한 상태 진화가 있습니다. , 그들은 인간과 하늘에 태어나 인간과 신의 보복을 받게 될 것이며, 나쁜 카르마의 씨앗이 강력하면 지옥, 아귀, 동물의 보복을 받게 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여덟 번째 의식은 광대하고 끝이 없는 형태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팔식경』에서 “광대한 삼보(大寶)는 무궁무진하며 심연은 칠파(七波)와 같으니라. ”

제8의식은 자기상, 원인상, 결과상이라는 세 가지 국면을 가지고 있는데, 자기상은 알라야 의식 그 자체로서 저장하고 숨길 수 있다는 의미로 나타난다. , 그리고 저장을 붙잡는 단계는 모든 종자 의식을 말하며, 모든 법의 씨앗을 잃지 않고 붙잡을 수 있습니다. 이는 서로 다른 시간에 익는 세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양한 유형으로 익고 변화를 통해 익게 됩니다. 이 특성을 통해 감각 있는 존재가 모든 영역에서 선과 악을 행하게 할 수 있습니다. 선한 일이든 악한 일이든 기록되지 않은(선한 일도 악한 일도 아닌) 카르마 씨앗을 가지고 있으며, 언제 어디서든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어도 여전히 역할을 할 것입니다. 사람들은 종종 "선한 행위는 선한 행위로 보상받을 것입니다. 그리고 악행은 악행으로 갚을 것이다. 때가 오기 전에 보상을 받지 못하는 것이 아니다"라는 말이 이 사실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제8의식은 언제쯤 완전하게 될 수 있는 상태에 이를 수 있는가? 청정하고 오염되지 않은 씨앗의 힘은 수행을 통해 부처님의 과를 성취하고 순수하고 오염되지 않은 대원경지혜가 될 때만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