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금넷 공식사이트 - 주식 지식 - '뒤로 가면 앞으로 간다'는 말은 어디에서 왔나요?
'뒤로 가면 앞으로 간다'는 말은 어디에서 왔나요?
오대 양나라 때의 기계대사가 지은 7자 절구에서 따온 시인데, 그 시가 '모심시'이다.
"모내기 시"
부다이 스님?
밭 곳곳에 푸른 논을 심고, 고개를 숙이면 하늘이 보인다. 물.
순수한 마음이 길이요, 후퇴가 곧 전진이다.
번역:
모종을 손에 들고 논바닥에 하나씩 심었는데, 모종을 심을 때 아래를 내려다볼 수 있었습니다. 푸른 하늘과 흰 구름이 논에 비쳤다. 우리의 몸과 마음이 더 이상 외부의 물질적 욕망에 오염되지 않을 때에만 우리는 도와 조화를 이룰 수 있습니다. 모내기를 할 때에는 심으면서 뒤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지만, 항상 앞으로 나아갑니다.
추가 정보
저자 정보
불대승이라고도 불리는 이 승려는 밍저우 펑화(현 절강성 닝보시 펑화)에 살았습니다. 당나라 말기부터 오대 후량(後梁)까지의 승려 정자(智子)는 오대 후량(後梁)의 유명한 승려이다.
이 시는 후퇴도 전진하고, 후퇴하는 사람은 더욱 전진하고 번영한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고대인들은 "후퇴하는 것은 전진하는 것이다"라고 말했고 또한 "후퇴하는 것보다 더 나은 것은 없다"고 말했습니다. 명성과 부 앞에서 물러서는 것이 얼마나 안전하고 편안한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