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금넷 공식사이트 - 펀드 투자 - 난통 부동산 관리 규정 2022년 신규 규정
난통 부동산 관리 규정 2022년 신규 규정
법적 주체:
제1장 일반 조항 제1조는 재산 관리 행위를 규제하고 소유자, 사용자 및 재산 관리 회사의 권리와 의무를 명확히 하며 안전과 안전을 창출하고 유지하는 것입니다. 청결, 문명화되고 편안한 생활 및 작업 환경을 보장하기 위해 본 규정은 관련 국가 법률 및 규정에 따라 그리고 이 지역의 실제 상황과 결합하여 제정되었습니다. 제2조 본 조례는 본 성 행정구역 내 재산관리 활동에 적용된다. 부동산 개발업자가 건설하여 2인 이상의 소유자에게 공동으로 사용하도록 판매 또는 임대한 재산은 재산관리의 대상이 됩니다. 주택제도 개혁 정책에 따라 판매되는 공공주택 및 기타 부동산의 경우 소유자가 자발적으로 자산 관리를 실시합니다. 제3조 이 조례에서 말하는 재산이란 이미 완성하여 사용하는 건축물과 그 부대시설, 장비 및 관련 장소를 말한다. 이 조례에서 말하는 재산관리라 함은 소유자 또는 소유자단체가 재산관리업체에 재산의 모든 부분과 관련사무를 관리하도록 위탁하는 활동을 말한다. 본 조례에서 말하는 '소유자'란 해당 부동산의 소유자를 의미합니다. 판매 또는 임대를 위해 건설되었지만 아직 판매 또는 임대되지 않은 부동산 소유자에게는 예외가 적용됩니다. 이 규정에서 말하는 “이용자”라 함은 부동산의 임차인 또는 그 부동산을 실제로 사용하는 기타 자를 말한다. 본 조례에서 자산관리기업이란 법률에 따라 설립되고 독립적으로 민사책임을 부담하며 자산관리 서비스에 종사하는 조직을 말한다. 제4조 재산관리는 정부행정부서의 감독, 소유자의 자율성, 재산관리기업서비스를 결합한 시스템을 실시한다. 자산관리가 사회적, 전문적, 시장지향적인 방향으로 발전하도록 장려합니다. 제5조 성 인민정부 건설행정부서는 성 내 자산관리 활동을 감독, 관리한다. 시, 현(시) 인민정부의 부동산관리부문은 해당 행정구역 내의 재산관리활동을 감독, 지도한다. 제6조 각급 인민정부 관련 부서는 각자의 직책에 따라 재산관리 분야 관련 업무를 훌륭히 수행해야 한다. 제2장 소유자, 소유자 회의 및 소유자 위원회 제7조 소유자는 재산 및 관련 업무의 모든 측면을 감독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소유자는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향유합니다. (1) 소유자 회의에 참여하고 투표권을 향유합니다. (2) 소유자 위원회 구성원으로 선출 및 선출될 권리를 향유합니다. (3) 자산 관리 서비스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향유합니다. (4) 소유주 위원회의 활동을 감독합니다. (5) 재산 관리 기업의 관리 서비스 활동을 감독합니다. (6) 법률, 규정 및 규칙에 규정된 기타 권리. 소유자는 다음과 같은 의무를 부담합니다: (1) 재산 관리 법률, 규정 및 규칙을 준수합니다. (2) 소유자의 계약을 준수합니다. (3) 재산 관리 지역의 재산 관리 시스템 및 규정을 준수합니다. ) 소유자 회의의 관련 결정을 이행합니다. (5) 재산 관리 서비스 비용을 기한 내에 전액 지불합니다. (6) 법률, 규정 및 규칙에 규정된 기타 의무를 이행합니다. 제8조 소유자회의는 재산관리구역 내의 모든 소유자로 구성된다. 소유자 회의는 다음과 같은 책임을 수행합니다. (1) 소유자 위원회 구성원을 선출하고 교체합니다. (2) 소유자 위원회의 정관 및 소유자 계약을 검토하고 채택하거나 수정합니다. 소유주 위원회의 업무 보고서를 청취 및 검토하고, 소유주 위원회의 부적절한 결정을 변경하거나 취소합니다. (4) 소유주 위원회가 자산 관리 회사를 선택하고 해산하도록 결정하거나 권한을 부여합니다. 5) 거주 부분과 거주 시설 및 장비에 대한 유지 관리 자금 계획을 논의하고 결정합니다. (6) 자산 관리 영역 내 자산 관리와 관련된 기타 사항을 결정합니다. 제9조 재산관리구역 중 소유자에게 인도된 주택의 건축면적은 50%를 초과하거나, 소유자에게 인도된 주택의 건축면적은 50%에 달한다. 30% 이상 50% 미만, 그러나 해당 부동산이 12개월 이상 사용되었고 아직 첫 번째 소유자 회의가 열리지 않은 경우, 지역 부동산 관리 부서는 소유자에게 첫 번째 소유자의 회의를 개최하도록 지시해야 합니다. 회의. 제10조 소유자회를 소집할 때에는 의결권이 있는 소유자의 과반수 이상이 참석해야 한다. 소유자는 대리인을 위임하여 소유자 회의에 참석할 수 있습니다. 민사행위무능력자 또는 제한된 행위능력을 가진 소유자는 법정대리인 또는 후견인이 출석하여야 한다. 소유자 회의는 소유자 위원회가 소집합니다. 소유자위원회는 필요하다고 인정하거나 소유자 15% 이상의 제안이 있는 경우 소유자총회를 소집하여야 한다. 소유자 계약과 소유자 회의에서 결정된 사항은 모든 소유자에게 유효합니다. 소유자회가 문제를 결정하는 절차는 소유자회에서 정한다. 소유자총회를 소집할 때에는 매매 또는 임대를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나 매각 또는 임대하지 아니한 부동산의 소유자 대표, 주민위원회 대표, 부동산 사용자 및 관리회사 대표를 초청할 수 있다. 참석하다. 제11조 소유자의 의결권은 법률, 행정법규에 별도의 규정이 있는 경우 다음 규정에 따라 계산할 수 있다. (1) 주택은 1세대당 1개의 의결권을 기준으로 계산한다. 비주거용 부동산 건설 면적 계산. 소유자의 의결권을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소유자 회의에서 제정한다. 제12조 주택주위원회는 주택주총회의 집행기관으로 주택주총회에서 선출되며 부동산관리국에 등록 및 등록된다. 소유자 위원회는 관련 국가 법률, 규정 및 이 규정에 따라 활동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임무를 수행합니다. (1) 소유자 회의를 소집하고 주재합니다. (2) 소유자의 결의 및 결정을 실행합니다. 회의 (3) 소유자 및 사용자의 의견과 의견을 청취합니다. (4) 소유자 회의에서 할당한 기타 책임. 제13조 재산관리구역에는 하나의 소유주위원회만 설치할 수 있다. 소유자위원회의 구성원은 재산관리구역 내의 소유자로 한다. 소유자위원회 위원의 수와 임기는 소유자총회에서 결정한다. 제14조 소유주위원회는 선거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지방부동산관리부서에 등기 및 등록수속을 거쳐야 한다.
제15조 소유주위원회는 부동산관리부서가 발행한 등기증에 기초하여 인감각인을 신청해야 한다. 소유자 위원회는 기록을 위해 현지 부동산 관리 부서에 인감 패턴을 제출해야 합니다. 제16조 소유주위원회는 지방부동산관리부문의 지도감독을 받아야 하며 어떠한 경영활동에도 종사해서는 안 된다. 제17조 소유자위원회는 소유자총회 및 정관의 결정에 따라 회의를 개최해야 하며, 회의에는 구성원 과반수 이상이 참석해야 하며, 전체 구성원 과반수가 회의의 결정을 통과해야 한다. 소유주 위원회의 결정은 공개됩니다. 제18조 소유자회가 할당한 책임에 따라 소유자위원회가 내린 결정은 재산관리구역의 소유자와 재산 사용자를 구속한다. 소유자 회의, 소유자 위원회 및 소유자 계약의 결정은 법률, 규정 및 규칙과 충돌해서는 안 됩니다. 제19조 재산을 양도한 경우 새 소유자는 양도 절차를 완료한 후 30일 이내에 소유자위원회와 자산관리회사에 통지해야 합니다. 제3장 재산의 사용 및 유지 제20조 재산의 사용 및 유지는 도시 미관 및 환경 위생, 환경 보호, 주택 관리, 소방 관리, 치안 관리 및 기타 법률, 법규 및 규칙을 준수해야 한다. 규칙. 제21조 법정 보증 기간이 만료된 후 처음 사용하는 재산과 시설, 장비의 유지 보수, 갱신, 개조 비용은 유지 기금에 기재하고 부족한 부분은 공유해야 합니다. 소유자가 공동으로. 소유자의 실외 물, 전기, 가스, 난방, 통신 및 기타 시설 및 장비의 관리, 유지 및 수리는 법률, 규정 및 규정에 달리 규정되지 않는 한 부동산 소유권에 따라 부동산 소유자의 책임입니다. 규칙. 제22조 소유자 또는 사용자는 다음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1) 가옥의 하중 지지 구조를 손상시키거나 가옥의 외관을 파괴하거나 가옥의 용도를 무단으로 변경하는 행위; 및 주택의 외부 하중 지지 벽, 들보, 기둥, 바닥, 발코니 및 옥상 (3) 가연성, 폭발성, 고독성 및 방사성 위험 물질을 보관하는 행위 (4) 주택을 사용하여 타인의 이익을 위협하는 활동에 참여하는 행위; 공공의 이익을 침해하고 타인의 정당한 권익을 침해하는 행위. 제23조 재산 관리 구역 내에서 금지되는 행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녹지 공간을 짓밟고 점유하는 행위 (2) 나무와 정원을 훼손하는 행위 (3) 통로 등 공공 장소를 함부로 버리는 행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