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금넷 공식사이트 - 주식 지식 - 워털루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것은 무엇입니까?

워털루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것은 무엇입니까?

'워털루'는 결정적인 순간의 실패를 묘사하거나, 전성기에서 쇠퇴하는 전환점을 묘사하거나, 쇠퇴로 이어지는 주요 사건을 유도하는 데 사용된다.

1815년 6월 18일 벨기에 워털루 마을에서 프랑스군과 반프랑스 연합군이 벌인 결정전이었던 워털루 전투에서 유래한다.

전투의 결과는 반프랑스 연합군의 결정적인 승리였다. 이 전투로 나폴레옹 제국은 멸망했다. 이 전투는 나폴레옹 1세의 마지막 전투이기도 하다. 나폴레옹이 패배한 후 그는 세인트헬레나 섬으로 유배되어 역사의 무대에서 물러났다.

확장 정보:

1. 전쟁 배경

1815년 6월 18일 프랑스에 대한 제7차 유럽 반프랑스 동맹 전쟁 중 영국군은 브뤼셀 남쪽 워털루에서 벌어진 프로이센군과 프랑스군 간의 전투.

1815년 3월, 나폴레옹 1세는 엘바섬에서 프랑스로 돌아와 재빨리 옛 군대를 모아 파리로 진군해 다시 황제를 선포하고 즉시 군대를 창설했다. 반프랑스 동맹은 70만명의 병력을 동원해 각기 다른 방식으로 프랑스를 공격할 계획이다. 가장 초기에 집중된 영국-네덜란드 및 프로이센 군대가 처음으로 벨기에에 입성했습니다.

적군을 격파하기 위해 나폴레옹 1세는 6월 15일 약 12만명의 병력을 이끌고 벨기에에 입성했다. 16일에는 리니 전투(Battle of Ligny)가 벌어져 블뤼허(Blücher)가 이끄는 프로이센군을 격파한 뒤, 이를 추격하기 위해 33,000명의 병력을 파견했다.

18일 웰링턴 공작은 영국군, 네덜란드군, 벨기에군, 하노버군(67,000명, 포병 150개 이상)을 이끌고 워털루 인근 진지를 점령해 프랑스군을 저지했다. 나폴레옹 1세는 우세한 병력(74,000명, 포병 252문)을 앞세워 연합군 우익을 공격하는 척하며 오전 11시에 공격을 시작했고, 주력은 연합군 좌익을 공격했지만, 나폴레옹은 완고한 저항에 부딪혔다. 연합군은 병력을 하나씩 투입할 수밖에 없었다.

나폴레옹 1세가 연합군의 전투력을 과소평가한 탓에 연합군의 좌익 돌파에 실패했고, 주 공격 방향을 적군 중앙으로 돌린 뒤 다수의 정면 공격을 편성해 예비군을 배치했다. 잇달아 힘을 보탰지만 별다른 진전은 없었다. 이 기간 동안 프랑스 기병대는 두 번이나 영국군 진지에 침입했지만 보병 지원이 부족하여 격퇴당했습니다.

저녁이 되자 블뤼허는 프로이센군을 이끌고 전장으로 나갔다. 연합군은 유리한 방향으로 선회해 즉각 반격을 시작했다. 나폴레옹 1세는 이때 예비군이 없었고 예정된 지원군도 도착하지 못했습니다. 프랑스군은 저항하지 못하고 전면적으로 무너졌고, 나폴레옹 1세는 전장에서 도망쳤다.

2. 종합적 평가

워털루 전투는 전쟁사에서 유명한 전투로, 궁극적으로 나폴레옹과 그의 제국의 운명을 결정짓고 유럽에 큰 영향을 미쳤다.

워털루 전투에서 나폴레옹이 실패한 이유에 대해서는 항상 다른 의견이 있어왔습니다. 승리자인 웰링턴 공작은 나폴레옹의 전략적 공세가 자신의 실패의 주된 원인이라고 믿었다. 무슨 동기로 이런 말을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연합이 저절로 무너질까요? 1814년 프랑스를 침공한 연합군은 무너지지 않았습니다!

제1차 연합군이 65만명을 집결시키고, 가을에 또 30만명의 병력이 도착해 총 100만명의 병력을 확보할 예정인 반면, 프랑스군은 서둘러 정규군 28만4천명의 병력만을 편성했다. 군대는 너무 다양해요. 방어를 공격으로 전환하여 적군을 하나씩 격파하고 주도권을 장악하려는 나폴레옹의 계획은 훌륭했고 성공할 가능성이 높았습니다.

나폴레옹 자신이 콜랑쿠르에게 이렇게 말했다. “그루시가 제때 증원을 하지 못해 기병대가 패해 참담한 패배를 당했고, 네의 행동이 충분히 적극적이고 재치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의 말은 사실에 더 부합하지만 인사 측면의 분석에도 중점을 둡니다.

바이두 백과사전-워털루 전투